(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올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작년보다 한 단계 하락했다. 특히, 경제성과에서는 7단계나 추락했다.

기획재정부는 2019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종합순위는 평가대상 63개국 가운데 28위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27위에서 1단계 하락했다.

IMD는 경제성과와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4대 분야, 20개 부문, 235개의 세무항목으로 순위를 매긴다.


 

 

 

 

 

 

 


※IMD 국가경쟁력 종합순위



우리나라는 아시아ㆍ태평양 국가 14개 중 9위다. 인구 2천만명 이상 국가 28개 가운데는 11위에 올랐다.

미국은 1위에서 3위로 밀렸고, 싱가포르가 2단계 오르며 1위를 차지했다. 홍콩은 2위, 스위스와 아랍에미리트는 각각 4위와 5위였다.

중국(13→14위)과 일본(25→30위) 등 아시아 주요국의 순위는 다소 하락했으며, 독일(15→17위)과 영국(20→23위), 프랑스(28→31위) 등 유럽연합(EU) 선진국도 대체로 순위가 떨어졌다.

반면, UAE(7→5위), 카타르(14→10위), 사우디아라비아(39→26위) 등 중동국가의 순위가 상대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경제성과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순위는 작년 20위에서 27위로 추락했다.

국내총생산(GDP)과 수출, 투자, 취업자 증가율이 2017년과 비교해 둔화해 국내경제(9→16위), 무역(35→45위), 고용(6→10위) 등에서 저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GDP 규모(12위)와 GDP 대비 투자 규모(4위), 상품 수출 규모(6위), 교역조건(6위), 장기실업률(3위) 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 효율성 분야는 29위에서 31위로 하향 조정됐다.

재정 부문은 재정수지(16→3위)와 정부 부채(45→40위) 증가율 개선에도 GDP 대비 정부 부채 규모(23→27위)가 증가하면서 22위에서 24위로 내려갔다.

제도와 사회적 여건은 노동 개방성이 61위로 6계단 떨어지면서 각각 33위(4↓)와 39위(1↓)로 부진했다.

기업 효율성 분야는 무려 9단계 상승한 34위로 평가됐다.

근로에 대한 동기부여가 61위에서 41위로 급상승하면서 노동시장 부문이 지난 2014년 이후 최고치인 36위를 기록했다.

혁신성장 추진에 따라 기업가정신(55→45위), 국민(53→41위)과 기업(45→28위)의 새로운 도전에 대한 대응능력 등 나머지 부문도 개선됐다.

인프라 분야는 기술 및 교육 부문의 순위 하락으로 2단계 떨어진 20위였다.

세부적으로 교육 부문은 외국어 능력(33→44위), 대학교육의 사회수요 적합성(49→55위)이 이전보다 부정적으로 평가되면서 25위에서 30위로 조정됐다. 기술인프라(14→22위) 부문은 3G와 4G 가입자 비율(5→10위) 떨어지면서 급락했다.

그러나 과학 인프라 부문은 지적 재산권 보호 강화(39→37위), 연구인력확대(8→5위) 등으로 개선되면서 지난 2009년 이후 최고인 3위를 기록했다.

정부는 경제활력 제고, 경제체질 개선, 포용성 강화 등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경제활력은 핵심인 민간 투자 분위기 확산에 주력하고, 추가경정예산을 조속히 국회를 통과하게 해 경기→고용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혁신,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 우리나라 경제의 구조적 체질개선 노력을 지속한다.

취약계층의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고 맞춤형 지원과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등 포용성도 강화한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민관합동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주요지표에 대한 개선방안을 내달 중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j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