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임하람 기자 = 중국 기준환율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관심도가 줄어든 가운데 환율전쟁과 위안화 약세에 대한 서울환시의 경계감도 다소 옅어진 상황이다.

달러-위안 환율이 7위안을 넘어선 후 추가 약세가 제한됐고, 인민은행의 기준환율에서도 의미 있는 방향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환율 전쟁 우려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0일 서울환시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인민은행의 기준환율에서 의미 있는 방향성을 감지하기 어렵다고 진단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8일 달러-위안 기준환율을 11년 만에 7위안 위로 고시한 후 기준환율의 변동성을 0.1% 내외로 제한하고 있다.

홍콩에서 거래되는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이 7.1위안을 돌파한 상황에서도 기준환율을 낮은 7.0~7.03위안 레벨 사이에서 고시하고 있다.

지난 5거래일간의 평균 등락 폭은 0.07% 수준이며 특정한 방향성 없이 절하와 절상 고시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환시 외환딜러들은 달러-위안 기준환율이 7위안을 넘어서며 '포치(破七)' 우려가 금융시장을 뒤덮었을 때는 달러-원이 기준환율 발표 전후로 변동성을 크게 키웠으나, 현재 이 같은 경계심은 약화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또, 환율을 시장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에서 계속 고시하는 인민은행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신뢰를 얻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 외국계은행의 외환딜러는 "기준환율 고시가 7위안 위로 나온 후 계속 시장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에서 고시됐다"며 "미·중 갈등을 환율 영역으로 넓히지 않고, 위안화 환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인민은행의 시그널을 시장이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중 일시적인 위안화 연동성이 아직 없어진 것은 아닌 만큼 관련된 경계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외국계 은행의 외환딜러는 "기준환율이 미세조정된 수준에서 고시되며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으나 위안화 움직임 전체는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며 "전일도 위안화의 움직임이 수급 요인을 압도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9월 무역 협상이 차질을 빚거나 환율조작국 지정에 따른 상계관세 부과 등의 이슈가 재부각된다면 환율전쟁 우려는 다시 수면에 떠오를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은 추후 미국의 대중 상계관세 부과 논리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움직임으로도 해석된다.

핵심적인 갈등 사안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9월 무역 협상이 지지부진할 경우 미국의 상계관세 부과 가능성과 이에 따른 위안화 약세, 미국과의 환율 갈등이 예상된다.

관련 리스크가 부각될 경우 달러-원은 다시 위안화에 강하게 연동될 것으로 관측됐다.

연말까지 상당한 강도의 위안화 약세가 이어진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위안화 약세에 관련된 개입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재차 환율전쟁 리스크를 증폭시킬 수 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은 9월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미국이 중국에 상계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며 "무역 협상이 진척되지 않을 경우 환율조작국 지정에 따라 미국은 중국에 상계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위안화는 역외 시장에서 다시 약세를 나타내 환율전쟁 이슈를 재부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hrl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