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진우 노현우 기자 = 기획재정부가 올해 중 추진하기로 했던 단기 국채선물의 연내 도입이 사실상 무산됐다.

금융당국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를 대체할 '무위험 지표금리(Risk Free Rate·RFR)' 개발에 착수하면서 계획이 미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2일 한국거래소와 채권시장에 따르면 스트립 금리를 기반으로 한 단기국채선물 도입은 보류된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CD금리를 대신할 RFR 개발에 착수하면서 종전 스트립 금리를 기반으로 한 단기 국채선물의 도입 필요성이 작아졌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지난 6월 '지표금리 개선 추진단'의 첫 회의를 열고, 대체 지표금리인 RFR을 개발해 2021년 3월에 공시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의 내년 벤치마크법(BMR·Benchmarks Regulation) 시행을 앞두고 CD 대체금리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한 것이다.

이는 2012년 리보 조작 사건 이후 주요 선진국이 각종 대출과 파생거래 등 금융거래에서 사용되는 지표금리의 신뢰성을 강화하려는 흐름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다.

리보(LIBOR)는 영국 은행이 호가 방식으로 제시한 금리를 기초로 산정한 평균금리로 국제 금융시장에서 널리 통용됐지만, 일부 은행이 허위 자료로 금리를 조작한 사실이 발각되며 신뢰성과 대표성을 잃었다.

이후 주요 20개국(G20) 요청으로 금융안정위원회(FSB)는 주요 금융지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이들 사이에서 리보나 CD금리처럼 거래 주체인 은행의 신용리스크가 포함된 지표가 아닌 화폐의 시간 가치만을 고려한 '무위험 지표금리(Risk Free Rate·RFR)'의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졌다. (지난 6월 16일 정오 송고한 '금융위ㆍ한은, 2021년까지 대체지표금리 만든다' 기사 참조)

단기 국채선물 도입은 기재부가 작년 말 공개한 '2019년도 국고채 발행계획 및 제도개선 방안'에 담겼던 내용이다. 기재부는 국고채 거래 시 헤지수단을 다양화하기 위해 스트립 3개월 금리를 기반으로 한 단기 국채선물을 도입할 계획이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무위험 지표 금리를 선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한 단기금리 선물을 상장하는 게 추가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기존에 추진하던 스트립 기반 단기 국채선물 도입은 유보된 상황이다"고 말했다.

jwchoi@yna.co.kr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2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