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상대적으로 수요가 좋았던 산업 부문의 비중이 장기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30일 '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發 경제위기의특이성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서 코로나 사태가 다른 경제 위기와 달리 생태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했다고 짚었다.

이 때문에 경제정책이 아닌 질병 위험 해소 여부가 경제 회복 시점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코로나 경제 위기는 다른 경기침체에 비해 업종별로 침체의 편차가 매우 크다는 점도 특징이다.

보고서는 2분기 업종별 성장률 편차가 과거 대형 경기침체와 비교해 가장 크며 과거 경기 침체 평균보다 약 2.5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중에서는 2분기 전체 제조업 생산은 약 5% 감소한 반면 반도체 생산은 23% 늘었다.





보고서는 이런 이유로 경제 전 부문에 정책 대응을 하기보다 피해업종과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필요하며, 일자리 정책에서도 해고 억제 정책에 더해 호황업종의 채용 확대를 유인하는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사태는 다른 위기와 달리 장기적 영향도 가져올 것으로 보이는데 우선 산업 구조의 변화다.

보고서는 감염병 위협에 따른 행태 변화가 장기화함에 따라 이번 위기에서 상대적으로 수요가 탄탄했던 부문들의 비중이 장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주요 선진국이 사상 최대 규모로 재정 지출을 확대하며 새로운 정책들을 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재정정책이 강화되고 정부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코로나 경제 위기가 생태환경적 위기의 심각성을 일깨워 경제활동이나 경제 정책에서 생태환경적 고려를 다루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우리도 이 문제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