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며칠 전 미국 로드아일랜드주가 성인 10명 가운데 7명에게 1회 이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미국 내 8번째 주가 됐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인 7월 4일까지 '전체 성인의 70%에게 최소 1회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이 목표를 이룬 곳은 코네티컷·하와이·메인·매사추세츠·뉴햄프셔·뉴저지·버몬트주다.

미국 내 코로나19 감염증 집단면역은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목표가 '고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집단면역 달성은 실질적인 고용 개선과 이를 통한 미국 경제의 본격 성장 궤도 진입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미국에선 작년 3월과 4월에 대규모 실업이 발생한 뒤 민간 기업들의 구인난이 여전하다. 고용시장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취약계층까지 회복세를 체감하게 하려면 연준의 정책적 지원이 계속돼야만 하는 상황이다. 미국 중앙은행이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지만, 한 발 한 발 천천히 발걸음을 뗄 수밖에 없는 처지라는 의미다.

이번 긴축 사이클에서 연준은 지난 2013년 5월처럼 금융시장 참가자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은 채 움직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자산매입 축소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과 전 세계의 시장 금리가 '발작(탠트럼)' 수준의 급등세를 보였다. 미국 국채와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는 10년물 기준으로 모두 100bp 안팎 치솟았다.

제롬 파월 의장이 점진적 조치를 예고해온 만큼, 연준이 연내에 테이퍼링을 시작하기는 사실상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올해 여름 미국이 집단면역을 달성하면, 이후 일정 기간 경기 흐름을 관측한 뒤 가을께 자산매입 축소 관련 멘트가 나올 수는 있다. CNBC는 오는 8월 잭슨홀에서 열리는 연례 회의에서 연준이 테이퍼링 관련 내용을 외부에 흘리기 시작할 것이라는 게 다수 전문가의 시각이라고 23일 보도했다.

2013년의 경우 5월에 테이퍼링과 관련한 첫 언급이 나왔고, 이것이 10월에 구체화한 데 이어 12월에 자산매입 축소가 개시됐다. 연준은 이후 8차례에 걸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마다 자산매입 규모를 줄였고, 2014년 10월 이 작업을 마무리했다. 2015년 12월에는 1년간의 휴지기를 거쳐 결국 금리를 인상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예상 경로에서 2013년과 같은 발작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그럼에도 여전히 우려 요인이다. 금융시장이 연준의 통화정책만 바라보는 '천수답'인 상태에서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경우에 따라선 그동안 미국의 저금리로 가격이 급등한 신흥국 주식과 채권 등 위험자산이 직격탄을 맡을 수 있다. 최근 시장의 '핫 아이템'으로 떠오른 가상화폐도 예외는 아니다. 좀 더 큰 틀에선 미국과의 금리 격차 축소로 신흥국에서 자본 유출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달러화가 큰 폭으로 움직이면서 시장을 뒤흔들 수도 있다.

다만 승부사들의 관점에선 이런 상황이 나쁘지만은 않을 수 있다. 시장이 요동쳐야 수익을 낼 기회도 생기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초 미국의 코로나19 상황과 관련, "여름이 끝날 때쯤 우리는 지금과는 매우 다른 위치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가 당선됐을 때 첫 100일 이내에 1억 명이 백신을 접종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내가 틀렸다. 2억 명이 백신을 접종했다"고 목표치 초과 달성을 강조했다. 금융시장이 바이든 대통령의 목표가 현실이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국제경제부장 이한용)

hy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