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지난주 파산한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의 보유 자산을 들여다보면 안전자산 그 자체인 국채와 고신용 부동산담보증권으로 구성돼 있어 놀라움을 자아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SVB가 신종 파생상품이나 구조화 채무상품 등 끔찍한 상품을 전혀 보유하지 않았으며 지루한 국채와 신용 등급이 높은 부동산담보증권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WSJ은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의 부실한 관리와 부주의한 감독도 책임이 있다"며 "또한, 2008년 이후 금융시스템을 수정한 정치인과 규제당국도 책임을 공유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매체는 "결정적으로 규제 당국이 다양한 만기의 국채를 완충 수단 우선순위 목록에 올렸다"며 "국채가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고 유동성이 높기 때문인데 금리 리스크를 경시해 온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을 시작하기 전 오랜 기간 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다른 중앙은행들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금리를 유지하며 국채의 시장 가치가 유지될 것이라는 믿음을 키웠다.

하지만 저금리 기조가 영원할 수는 없었다.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상승은 안전자산을 비롯한 많은 자산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미국 은행이 보유한 유가증권의 미실현 손실은 2022년 12월 기준 6천200억 달러(약 806조 원)에 달한다.

당국자들은 은행이 타격을 흡수할 준비가 충분히 됐다고 믿고 있지만, 이는 패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한정된다.

WSJ은 "이러한 종류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규제조차도 의도치 않게 위험이 될 수 있다"며 "미국 회계 규칙에 따르면 만기 보유자산에 대해서는 손실을 인식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제가 발생할 경우 매도 가능 자산은 반드시 시가로 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체는 "이런 제도는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이 더 많은 자산을 만기 보유자산으로 옮기려는 유인이 생긴다"며 "SVB가 극단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WSJ은 "어떤 법과 규칙, 규제도 가장 안정한 자산을 시한폭탄으로 만들 수 있는 나쁜 통화정책의 결과로부터 경제를 보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sska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1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