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남경 기자 = 국내 카드사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연체율이 일제히 1%대에 진입했다. 앞으로 개인 채무자의 상환 능력이 더욱 떨어질 수 있다는 점도 카드사 건전성에 불안을 더하고 있다.

3일 공시에 따르면 실적을 밝힌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의 연체율이 일제히 1%대를 넘었다. 카드사 연체율이 모두 1%대를 기록한 건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셌던 지난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신한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1.04%에서 올 1분기 1.37%로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카드는 1.21%에서 1.35%, KB국민카드는 0.92%에서 1.19%, 하나카드는 0.98%에서 1.14%로 올랐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체율을 유지해 온 삼성카드도 0.86%에서 1.1%로 상승했다.

높아지는 연체율에 대응하기 위해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의 규모를 늘렸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손실이 발생할 것을 대비해 미리 금액을 쌓아두는 것으로 실제로 손실이 발생하면 대손비용으로 집계된다. 충당금 전입액을 공시한 신한·삼성·KB국민·하나카드는 1분기 총 6천965억 원을 충당금으로 쌓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4천290억 원에 비하면 62.7% 늘어난 수치다. 하나카드의 충당금 전입액은 지난 1분기보다 174.8%나 증가했다.

문제는 연체율의 후행지표로 불리는 개인회생·채무조정 신청 건수가 덩달아 늘어나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가파른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의 여파로 개인 채무자들의 상환 능력이 한계에 내몰렸다는 지적이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채무조정 신청 차주는 4만6천6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3만2천5명 대비 43.9% 증가한 수치고, 전 분기 대비로는 15.9% 늘었다.

A 카드사 관계자는 "가계 대출이 많은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다 보니 상환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연체율 상승으로 나타나는 상황이다"며 "문제는 신용회복위원회 절차 등을 거치는 개인 채무자가 폭등했다는 점인데, 이런 채권은 신용구제채권으로 잡혀 연체율에 포함되기 때문에 카드사가 회수할 수도, 팔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가 높은 상황이라 상반기까진 카드사의 연체율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만기 연장, 상환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의 청구서가 올해 안에 밀려올 것이란 관측도 우려를 키우는 요인이다.

B 증권사 연구원은 "연체율 상승과 채무조정 등 개인 신용대출의 부실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카드사의 대손 비용에 영향을 미치고, 실적도 부진한 모습"이라며 "금융지원 정책의 종료 등 향후 상황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카드사의 조달 금리가 안정화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의 금융중심지 여의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nkhwa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