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신은실 기자 = 미국 정부가 역사상 18번째 폐쇄를 결정했지만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기간이 길어지지 않는다면 국내 증시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정부폐쇄가 결정된 전일 국내 증시는 상승폭을 소폭 축소하는 데 그쳤던 데다 과거 사례를 보더라도 대체로 지수 급락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폐쇄된 과거 17차례 사례에서 정부폐쇄기간이 5일 미만이었던 9번 동안 S&P500지수는 평균 0.27% 상승했다. 정부 폐쇄가 10일 이상 이어진 5차례는 평균 2.5% 떨어졌다. 또한 최장 정부폐쇄 시점이었던 1995년 연말의 경우 S&P500 지수는 약보합에 머물렀다.

1980년대 이후 발생한 11번의 미국 정부폐쇄 시기와 코스피의 기간 등락율은 0.05% 하락으로 중립적이었다. 하락 빈도는 5차례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폐쇄기간이 장기화될 경우 국내 증시도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실제로 21일간 정부 폐쇄를 했던 지난 1995년 말 코스피는 5% 이상 하락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정부 폐쇄 장기화는 미국 정치권 부담 증가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태가 길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데드라인이 가까워진 채무한도 증액에 실패할 경우 국가 디폴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방지하려는 노력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채무한도 증액에 실패할 경우 세입만으로 세출을 감당해야 하는 것은 물론, 국가 신인도에도 타격이 발생할 수 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2011년 8월 채무한도 상향 협상 시점이나 2012년 말 재정절벽 협상 시점과 비교할 때 정책 불확실성지수는 제한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미국 정부 폐쇄가 국내 증시에 미치는 악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비록 미국에서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높아졌지만, 기본적인 축이 훼손되지는 않았다"며 "미국 정부폐쇄에 대한 극단적인 비관론은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재만 동양증권 연구원도 "미국의 정치적인 불안으로 단기 지수 흐름은 변동성이 높고 부진한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정치적인 노이즈가 쇼크로 커질 가능성은 낮다"며 "국내 경기가 수출에 이어 내수 경기도 회복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주식 비중 확대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