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권에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경제성장률 둔화 등으로 금리정책 방향이 바뀌면서 은행권의 대출 건전성에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원화 대출금 및 신탁대출금 합계 기준)은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0.46%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하반기 0.8%대를 꾸준한 하락세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각각 0.59%와 0.29%다. 두 부문 모두 전년 같은 달보다 0.03%, 0.04%씩 올랐다.

은행의 대출연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국내 거시경제 환경이 달라지고 있다.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기 대비 마이너스(-)로 뒷걸음질하면서 우려가 커진다.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반도체 수출 부진, 고용시장 침체도 문제다.

정부도 떨어지는 경제활력에 비상이 걸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민간 설비투자, 건설투자 등이 매우 부진해 하반기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달 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앞두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수 있다는 전망이 시장참가자들 사이에서 확산한다. 추가경정예산안 등 정부가 내놓은 부양책이 국회에서 막혀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여년간 기업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았을 때는 2009년 1분기다. 당시 기업대출 연체율이 1.63%까지 상승했다.

 

 

 


가계대출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지난 2009년 1분기에 0.76%로 정점을 찍고 이후 하향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경제가 어려우면 대출자의 신용등급도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은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으로 알 수 있다.

다만, 경제성장률이 부진하다고 해서 연체율이 갑자기 뛰진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자 부담도 다소 줄어들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대출 확대라는 기회와 건전성 관리라는 과제를 동시에 신경 써야 할 처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낮아지면서 영업환경은 우호적으로 돌아가게 되겠지만, 대출자들의 신용도에서 양극화가 나타날 여지가 크다"며 "중소상공인이 가계대출을 기업대출에 활용하는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