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 인프라펀드 공모방식 확산에 방점…뉴딜지수도 개발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정부와 민간이 함께 조성하는 20조원 규모 정책형 뉴딜펀드는 투자형태에 따라 프로젝트펀드, 블라인드펀드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자(子)펀드의 구조도 투자분야별 리스크에 따라 정책자금 비중을 조절하는 등 차별화를 꾀했다.

뉴딜펀드의 또 다른 축인 뉴딜 인프라펀드는 세제 지원 대상을 공모펀드로 한정하는 등 인프라펀드 시장의 공모 방식 확산에 방점을 뒀다.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를 위해 뉴딜지수를 활용한 연계 상품 출시를 유도한 점도 눈에 띈다.

3일 정부가 발표한 '국민참여형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금융 지원방안'을 보면 뉴딜펀드는 정책형 뉴딜펀드 신설, 뉴딜 인프라펀드 육성,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 등 3가지 축으로 추진된다.

먼저 정책형 뉴딜펀드의 경우 정부(3조원)와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4조원)은 모(母)펀드 형식으로 7조원을 조성한다. 이렇게 마련된 자금은 국민과 금융기관에서 모을 13조원과 합쳐져 총 20조원의 자펀드로 운용된다.

정부는 뉴딜 분야에 대한 효과적 자금 공급을 위해 프로젝트펀드, 블라인드펀드 등 다양한 형태로 투자할 계획이다.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투자기간과 위험추구 정도 등에 따라 자금을 선별해 모집·투자하고, 뉴딜 분야 관련 산업 및 전후방 산업 생태계 전반에는 블라인드펀드로 성장자금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자펀드 구조는 뉴딜 분야별 리스크에 따라 정책자금 지원 비중 등을 차별화한다. 투자위험이 높은 그린에너지 펀드에는 정책자금 비중을 40%로 높이고 상대적으로 투자위험이 낮은 2차전지 펀드에는 정책자금 비중을 15%로 낮추는 식이다.

정책형 뉴딜펀드의 주관은 운용 경험이 풍부한 한국성장금융과 산업은행이 맡는다. 투자 가이드라인은 현재 정책금융기관이 운영 중인 '혁신성장 공동 기준 매뉴얼'을 정비해 우선적으로 뉴딜 투자에 활용할 방침이다.

뉴딜펀드의 두 번째 축인 뉴딜 인프라펀드는 정책형 뉴딜펀드와 민간 인프라펀드 등이 자금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펀드 조성을 유도할 계획이다. 마련된 자금은 뉴딜 인프라에 일정 비율 이상 투자하게 된다.

특히 뉴딜 인프라펀드는 기관투자자와 사모 중심의 인프라펀드 시장에 국민이 참여하는 공모 방식을 확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투자금액 2억원 한도 내에서 배당소득에 대해 9% 저율 분리과세를 적용하게 되는데, 세제 지원 대상은 공모펀드로 한정된다. 민자사업자와 정책형 뉴딜펀드 자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때에도 민간 공모펀드가 참여한 운용사에 가점을 부여한다.

정부는 퇴직연금의 인프라펀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일반 국민의 인프라펀드 투자 확대를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인 펀드 설계시 국민의 투자 접근성 제고를 위해 존속기간이 짧은 공모 인프라펀드(5~7년) 개발도 검토하기로 했다.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뉴딜 업종 내 상장기업 종목을 추종하는 다양한 뉴딜지수를 개발하기로 했다. 한국거래소가 개발한 지수를 활용해 상장지수펀드(ETF), 인덱스펀드 등 뉴딜지수 연계 투자상품 출시를 유도할 계획이다.





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