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 미국 재무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마련했던 몇몇 긴급대출 프로그램의 기한을 연장하지 않기로 한 데 대해 월가는 놀라움을 나타냈다.

20일 마켓워치에 따르면 에버코어 ISI의 크리슈나 구하, 에르니 테데스키 애널리스트는 "므누신의 행보는 금융 여건을 타이트하게 하고, 잘못된 순간에 시장의 안전망을 없애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한 가지 부작용은 12월에 듀레이션 확대나 가이던스를 통해 연준이 양적완화(QE)를 강화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만약 상황이 충분히 나빠지면 구매 속도도 빨라질 수 있지만, QE는 신용 시장 안전장치로서는 매우 불안전한 대체품"이라고 강조했다.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회사채를 사주는 유통시장 기업 신용 기구(SMCCF)·발행시장 기업 신용 기구(PMCCF)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메인스트리트 대출 프로그램, 지방정부 유동성 지원 기구(MLF) 등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역할을 했다는 게 므누신 장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연준이 사용되지 않은 자금 4천550억 달러를 재무부에 반환하라고 요구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위험은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금리 상승, 중소기업의 신용 접근 제한, 예산에 제약이 있는 지방 자치단체의 재정난 악화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준의 입지가 현저히 약해졌다고 금융시장이 받아들일 경우 경제 활동이 약해지고, 퇴출과 압류 모라토리엄의 만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학자금 대출 상환 구제 종료, 연말연시 실업자 1천200만 명이 혜택을 잃는 등 금융 여건이 긴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므누신 장관이 보낸 서한에 따르면 연준은 어떤 기구라도 재설치할 필요가 있다면 외환시장 개입 조치를 위한 자금 조달을 위해 마련된 핵심 ESF 펀드를 사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에버코어의 분석가들은 그러나 "연준이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의 스와프를 통해 규모를 늘릴 수 있지만, 이 펀드에 정부증권은 100억 달러 안팎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씨티 리서치의 앤드루 홀렌호스트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몇 달 동안 이런 안전장치는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며 "그래서 직접적인 시장 충격은 제한되겠지만, 덜 탄탄한 안전장치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위험자산은 후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국채수익률이 하락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위험회피도 작용했다"며 "이뿐만 아니라 재무부 자금이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국채 발행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마켓워치는 12월 2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므누신 재무장관이 팬데믹 대응과 관련한 재무부와 연준의 활동을 보고하기 위해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공동으로 증언할 예정이라며, 그때 더 많은 말들이 오갈 것으로 예상했다.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은 므누신 장관을 향해 "법적으로 의심스럽고, 명백한 파괴적인 권고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격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sykwa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2시 4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