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채권 시장 개입 가능성을 두고 시장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급격히 오르는 채권 금리를 제한하기 위해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T) 등이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꾸준히 나오지만, 고정환율제도만큼이나 금리 고정을 쉽게 시작하지 못할 것이란 평가도 제기된다.

7일(현지시간) 투자전문지 배런스 등에 따르면 미국 국채시장은 지난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 대한 실망 속에 금리 상승을 이어갔다. 10년 국채금리는 지난주 한때 1.60%선을 웃돌다 1.56%에서 거래됐다. 연초 0.92% 대비 크게 높은 수준으로,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인 작년 초순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섰다.

역사를 보면 연준이 채권 금리를 제한한 사례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전쟁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 국채금리를 2.5%로 유지한 바 있다.

현재 거론되는 OT는 트위스트 춤이 한창 유행이던 지난 1961년 처음 선을 보였다. 최근에는 지난 2011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시행됐는데,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종전 최고치인 3.75%에서 2012년 7월 1.44%까지 떨어졌었다. 당시에는 유럽 부채 위기를 비롯한 다른 요인도 함께 작용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1조9천억달러의 신규 부양책으로 정부의 재정 적자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대통화이론(MMT)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중앙은행이 금리 수준에 개입할 것으로 관측했다. 연방 정부의 향후 차입 비용을 위해 금리 급등을 손 놓고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미국 채권금리가 100bp 오르면 '엉클 샘'(미국 정부)의 연간 이자 비용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예산보다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시에 "이자 비용이 의회예산국(CBO)의 기준 예상치보다 100bp 높다면 오는 2030년까지 연간 국방 예산의 10배가 넘는 9조7천억달러의 적자가 추가될 것"이라며 "이런 우려 때문이라도 수익률 곡선 통제는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다루듯이 채권 금리를 고정(peg)하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도이체방크의 앨런 러스킨 전략가는 "외환시장 개입과 마찬가지로 페깅(pegging)은 시작하는 것보다 중단하는 게 어렵다"고 경고했다.

배런스는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OT를 논의할 수 있다"며 "연준이 월별 채권 매입의 대상 채권을 장기화하는 게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러스킨 전략가는 "위험 자산이 심각하게 불안정해지는 것은 미국 10년 국채금리 2% 수준"이라며 "금리가 그 정도까지 오른다면 당국이 대응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에 대해 배런스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이 고점 대비 5% 미만의 낙폭을 보이는 상황에서 우리는 아직 거기에 도달하지 않았다"며 "통화 당국이 당장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ywkw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3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