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정선영 특파원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다른 중앙은행들의 금리인상이 개발 도상국의 글로벌 부채 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영국 비영리단체로 전세계 빈국들의 채무 완화에 앞장서 온 쥬빌리캠페인(JDC)은 전일 발행한 보고서에서 "개도국의 부채 상환액이 2010년과 2021년 사이에 120% 증가했으며, 현재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의 수입에서 외채 상환으로 쓰는 평균 비율이 2010년 6.8%에서 2021년에 14.3%로 증가했다. 특히 2020년에 급증했다고 쥬빌리캠페인은 설명했다.

부채 상환 급증은 이들 국가가 팬데믹에서 경제적으로 회복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으며, 2022년 미국과 다른 글로벌 국가들의 금리인상은 수입이 적은 나라들의 문제를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쥬빌리 캠페인의 헤이디초우 전무이사는 "부채 위기는 저소득 국가들을 휩쓸고 있으며, 채무 탕감에 대한 긴급 조치가 있지 않는 한 끝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채무 위기는 이미 기후 위기와 코로나19에 따른 지속적인 혼란에 대처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국가로부터 빼앗고, 금리인상은 더 많은 부채로 이들 국가들을 가라앉힐 위협을 준다"고 말했다.

JDC는 현재 전세계 54개국에서 부채 상환이 정부의 능력을 저해하는 부채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14개국은 공공 및 민간 부채 위기에, 21개국은 공공 부문 위기에 처해있다고 집계했다.

최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구(IMF) 총재는 세계경제포럼(WEF)이 주최한 '다보스 어젠다 2022'의 회의에 참가해 "미국의 금리인상이 일부 국가들의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상이 달러 표시 부채 비중이 높은 국가들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지금 조치하라. 만약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면 제발 그렇게 하라"고 권고했다. 저소득 국가의 60%가 부채 고통에 시달리거나 그럴 위험에 처했다는 점도 우려했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2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