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아베노믹스'로 불리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경기부양책은 구조개혁이 수반되지 않으면 그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 진단했다.

미국의 예에서 보듯이 비전통적인 통화정책만으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저널의 설명이다.

저널은 이러면서 일본이 앞으로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를 신임 일본은행 총재로 앉히고 무제한 양적 완화에 돌입하더라도 경기부양 효과는 확신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이미 0.71%로 지극히 낮은 상태여서 채권매입으로 금리를 더 낮출 여지가 별로 없다는 이유에서다.

WSJ는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지난해 집계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36%에 달하는 일본은 무제한 양적완화에 따른 리스크도 따른다고 진단했다.

중앙은행이 국채시장에서 큰손 역할을 하다 보면 추후 중앙은행이 보유 채권을 매각할 때 혼란이 초래될 수 있고, 인플레이션으로 국채금리가 오르면 정부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저널은 이에 따라 아베 총리가 정부의 보호를 받는 경제 영역의 개방과 노동인구 확대 등 통화완화보다 고달픈 경제 구조개혁에 매달리지 않으면 아베노믹스의 효과는 머지않아 끝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sj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