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최근 은행권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비은행 금융기관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등 아직 경계를 풀기 이르다는 진단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제기됐다.

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융통화위원은 지난달 13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은행권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안정 조짐을 보였던 가계부채는 최근 두 가지 우려되는 전개가 있었다"며 "첫째는 상호금융을 중심으로 한 비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급증"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월 비은행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3조7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조1천억원)에 비해서도 확대된 결과다.

정부가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을 옥죄자 규제가 덜한 비은행 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건설투자 동향도 가계부채 관련 우려되는 움직임으로 언급됐다.

기존 예상과 달리 거시 지표상으로 건설투자 둔화세가 가시화되지 않고 있어서다. 지표 추이를 보면 아직 주택시장이 안정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치)에 따르면 건설투자는 전기 대비 5.3% 증가했다. 이는 작년 1분기(7.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금통위원은 "특정 부문으로 금융자원 공급이 비전통적인 금융부문을 통해 급격히 증가할 경우 신용위험 관리의 미비가 수반된 사례가 많았음을 상기할 때 주의가 요구되는 변화"라고 경고했다.

그는 "일단 금융감독당국이 대출 증가속도 관리로 대응하고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향후 주택시장에서 비합리적인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야기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상호금융의 건전한 영업 및 위험관리 행태의 상시 점검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금통위원은 "올해도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크게 둔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들이 많은 만큼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대책 추진이 중요해 보인다"며 "은행 가계대출의 증가세가 앞으로도 계속 둔화할지, 비은행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대책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지 계속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