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유로존 경제 회복에 힘입어 유럽중앙은행(ECB)이 금융완화 정책 정상화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부 이견으로 과정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 보도했다.

작년말 ECB는 올해 4월부터 월간 자산매입 규모를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줄이겠다고 결정함으로써 '자산매입을 먼저 축소한 후 정책금리를 인상'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방식을 따르겠다는 스탠스를 내비쳤다.

WSJ은 그러나 ECB 내부에서 이와 같은 정상화 순서가 적절하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사인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3월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자산매입을 끝내기 전에 정책금리를 먼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페트르 프레이트를 비롯한 일부 위원들은 연준의 정상화 방식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WSJ은 중앙은행의 정상화 방법이 은행 주가와 대출, 시장 변동성, 유로화 전망에 큰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ECB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단기 금리에, 채권 매입은 장기 금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어떤 경로를 택하느냐에 따라 채권시장이 받는 영향이 달라진다.

현재 ECB는 기준금리인 레피(refi) 금리를 제로(0)%로,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하루 동안 돈을 맡길 때 적용되는 예금금리를 마이너스(-) 0.40%로 적용하고 있다.

일부 유로존 은행 관계자들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은행 수익성을 악화시켰다며 ECB가 자산매입을 끝내기 전에 정책금리를 먼저 인상하길 원하고 있다.

은행들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 때문에 발생한 비용을 수수료 형태로 고객에게 전가하기 어렵고, 수익성 악화 등으로 대출 능력도 악화됐다고 우려했다.

WSJ은 기업의 자금조달 가운데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20%에 불과한 미국과 달리 유로존은 약 80%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슈로더의 휴 반 스티니스 글로벌 전략 헤드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되짚어볼 만 하다"고 말했다.

WSJ은 ECB가 이른 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채권 매입 규모를 확대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재정 취약국인 남유럽 국가들은 반길만한 방법이나 독일이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실제 옌스 바이트만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는 지난 2014년 6월 금리를 마이너스로 떨어뜨리는 데 찬성표를 던졌으나, 국채 매입에 관해서는 줄곧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WSJ은 마이너스 금리가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그 평가에 따라 내부 논란이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jhm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