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일본은행의 금융완화를 지지하는 경제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해외채를 매입하거나 보유 국채를 영구화하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의 나가하마 도시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물가 상승세가 주춤한 것은 기업의 가격 전가 매커니즘이 파괴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15년 이상 지속된 디플레이션에 따른 트라우마로 기업 경영자들이 가격 인상을 꺼리고 있다고 전했다.

나가하마 이코노미스트는 합리적인 경영 판단 아래 가격을 인상하면 되는데, 가격 인상 후 (상품이나 서비스가) 팔리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을 과도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르면 내후년에 미국 경기 후퇴가 시작돼 연방준비제도가 금융완화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정책을 그대로 둘 경우 엔화 강세가 확실하다고 우려했다.

지금 당장 일본은행이 추가 완화를 할 필요는 없지만, 미국이 다시 완화로 방향을 틀 경우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나가하마 이코노미스트는 해외에서 환율 개입이라는 지적만 없다면 해외채 매입도 좋지만, 만약 이 방안이 무리라면 일본은행 보유 국채를 영구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루산증권의 아다치 세이지 경제조사부장도 해외채 매입을 통해 본원통화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아다치 부장은 환율 개입이라는 비판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긴 하지만 제도상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상장지수펀드(ETF) 매입도 현재 연간 6조 엔에서 10조 엔으로 더 늘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미쓰비시UFJ모건스탠리증권의 시마나카 유지 경기순환연구소장은 일본은행이 물가 목표보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가 상승이 부진한 것은 유가 하락 때문이며 일본은행이 원유 가격을 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다.

현재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명목 GDP 600조 엔 달성을 목표로 내걸고 있다.

시마나카 소장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간 약 3%의 명목 성장률이 필요하다"며 "연 80조 엔의 본원통화 확대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행은 이날 금융정책 결정 회의에서 올해와 내년 GDP 성장률은 상향 조정했으나 2% 물가 목표 달성 시기를 종전 '2018년 무렵'에서 '2019년 무렵'으로 연기했다.

jhm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