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올해 3분기 기준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대형 증권사의 우발채무(채무보증)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말까지 증권사 우발부채 중 부동산 채무보증 한도를 규제 수준에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상위 8개 증권사는 우발부채 규모를 약 30조2천억 원으로 공시했다.

올해 대형 증권사의 우발부채 규모는 감소하고 있다. 지난 1분기 말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의 우발부채 금액은 약 35조 원에 달했다. 이후 2분기 말 약 32조3천억 원까지 감소했고, 3분기에는 30조2천억 규모까지 줄어들었다.

증권사의 부동산 익스포저가 증가하면서 금융당국은 부동산 채무보증을 규제했다. 부동산으로의 자금 쏠림을 방지하고, 우발채무 급증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올해 말까지 증권사들은 부동산 관련 채무보증금액 비율을 자기자본 대비 120% 이하로 낮춰야 하고, 내년 6월 말까지 110%, 이후 100%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은 매입 확약을 이행하거나 딜 규모를 줄이는 등 재무 건전성을 관리해왔다.

채무보증 금액이 가장 많았던 메리츠증권은 2분기 6조2천억 원에서 3분기 5조2천억 원으로 약 1조 원 규모를 줄였다. NH투자증권 또한 3조 원에서 2조3천억 원까지 줄였고, 신한금융투자도 5조5천억 원에서 5조1천억 원까지 채무보증 금액을 줄였다. 하나금융투자의 경우 3조4천억 원에서 4조 원으로 우발부채를 늘렸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주거용 부동산 이외의 채무보증은 적용되는 비율이 다르고, 사회기반시설 등 다른 자산에도 투자하면서 채무보증 비율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규제 영향도 있지만, 증권사 자체적으로 우발부채 규모를 줄이는 추세"라며 "그간 부채 규모가 빠르게 증가했지만, 점차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방향성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리스크 관리가 더욱 엄격해지면서 PF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타났다.

증권사들이 안전한 자산으로 딜을 집중하게 되면, 어느 정도 리스크가 있는 PF 사업에서는 수수료를 높게 책정하지 않는 이상 투자할 요인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위탁매매 수수료 인하처럼 증권사가 자율적으로 경쟁하면 비용이 낮아진다"면서 "증권사들이 선택적으로 리스크가 낮은 자산만 찾게 되면 전반적인 PF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게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