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증권은 곧 주식으로 통용됐다. 국민주 등 오래전부터 전 국민의 만만한 재테크가 주식이었기 때문인지, 우리가 흔히 증시라고 부르는 증권시장(유가증권시장) 때문인지, 전원일기의 일용이가 휴짓조각이 됐다며 주식 증서를 날려버리고 '일용엄니'에게 등짝을 맞을 때도 증권은 주식이었다.

사실 증권은 유가증권을 말한다.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문서라는 의미다. 주식과 채권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여기에는 화폐, 상품증권 등 재산적인 권리를 표시한 증서는 모두 포함된다. 유가증권은 크게 지폐, 수표, 어음 등을 말하는 화폐증권과 주식, 채권, 선물옵션 등으로 나뉘는 자본증권을 뜻한다.

주식 한 편으로 밀려나 있던 채권, '(기관) 그들만의 리그', '(개인이라도) 큰 손만의 세상'이라고 여겨지던 채권이 이렇게 뜨거웠던 적이 있나 싶다. 사실 그동안 대중들에게 채권은 뒤편에, 주식은 앞쪽에 있었다. 우리는 코스피와 삼성전자 주가에 울고 웃었다.

2022년은 참 달랐다. 채권시장이 먹통이 되면 어떻게 되는지 아찔한 경험을 우리는 치열하게 했다.

전 세계 벤치마크인 미국 기준금리는 2020년 3월부터 올해 1월까지 0.00~0.25%였다가 현재는 4.25~4.50%까지 치솟았다. 1년 만에 4.25%포인트가 오른 것이다.

더 피부에 와닿는 민평 3사 3년물 기준으로 국내 'AA+' 회사채 금리는 올해 1월 3일 2.391%에서 이번달 1일 5.324%로, 엄청나게 올랐다. 지난해 1월4일만 해도 1.261%였다.






불과 2년 사이의 숫자들은 모든 것을 말해준다. 주식시장이 기업 가치를 매기는 곳이라면 채권시장은 기업의 생존을 가늠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곳이라는 점을 깨닫게 됐다. 시장 금리가 치솟고 자금줄이 말라가면 멀쩡했던 기업도 죽을 수 있다.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로 시작된 채권 금리의 위력은 증권, 보험, 카드 등 제2 금융권을 강타했다. 오랜 시간 천수답이라고 지적받던 브로커리지 위주의 증권사를 흔들 수 있는 것은 주가가 아닌 금리라는 것을, 보험의 10년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것도 절대적으로 금리라는 것을, 당장 조달이 안 되면 사업 자체가 부담스러워지는 곳이 카드와 캐피탈 등 여전업계라는 것을 우리는 똑똑히 알게 됐다.

증권사가 초대형 투자은행(IB)을 지향하는 동안에도 국내 증권사의 주 수익원은 어찌 보면 개미들의 피눈물이었다. 데이트레이딩하는 개미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증권사의 주머니가 두둑해진 과거의 기억이 지금도 작용하고 있는 탓이다.

하지만 과거의 삼투신(한국투자신탁, 대한투자신탁, 국민투자신탁), 옛 대우 사태 이후로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증권사도 망할 수 있다'는 우려는 올해 채권 시장 파동에서 나왔다.

돈을 벌지만, 돈이 돌지 않아 생기는 유동성 위기, 흑자도산 그림자는 짙었다. 증권사 확약물이라는 '꼬리'가 회사라는 '몸통'을 흔들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물로 시작된 위기는 건설사 신용으로까지 확대됐다. 건설사와 일반 기업 간 민평 스프레드가 벌어졌고,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증권, 건설사는 요주의 대상이 됐다. 은행 대출은 꽉 막혔고, 신용이 생명인 채권 시장에서 이는 또 다른 이름의 부도처럼 여겨졌다.

그 사이 대형 증권사들 사이에서도 시가 채권북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채권 평가손이 회사의 실적을 흔들 수 있게 된 만큼 형님 증권사들도 실적에 반영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FVOCI) 채권 비중을 늘리고 있다.

확정 손실이 아닌 평가 손실에 따라 실적 반토막을 경험한 한 대형 증권사 채권운용 본부장은 착시효과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제 증권사의 체력을 증명하는 상당 부분은 채권북이 됐다.

좀 더 호흡이 긴 생명보험사에는 금리가 지속 가능한 경영을 결정하는 핵심인지도 올해 확연히 드러났다. 치솟는 금리가 호재가 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와는 달리 생보사들의 RBC비율은 떨어지고 선제로 확충한 자본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형국이 됐다. 생보사들이 안정성을 위해 운용자산 대다수를 채권에 묶은 게 독이 됐다. 생보업계의 자산운용 규모는 1천조 원에 달한다.

조달금리가 사실상 실적을 좌우하는 카드, 캐피탈의 상황은 더 심각했다. 조달금리가 올라가면 오히려 커진 영업이 부메랑으로 작용하는 구조가 이 여신업계에 해당한다.

롯데 계열사가 아닌 데도 이름 때문에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던 롯데카드가 장기 CP 발행에 성공한 게 화제가 될 정도였다. 레고랜드와 흥국생명 등 연이은 유동성 우려 사태로 치솟은 CP 91일물 금리는 최근에서야 연초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올 한해 채권 시장은 파란만장했다. 국내 금융회사들도 울다 웃기를 반복했다. 이제야 조금은 진정되는 듯한 시장에 인플레이션 위험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그 누구도 무엇도 낙관하기 힘든 2023년이 오고 있다. (투자금융부장)

sykwa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2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