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남경 기자 = 지난 3년간 총 6차례 연장해 온 코로나 대출 연장·유예 조치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금융회사의 연체율이 급등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여신의 부실화도 지속되는 문제다. 업계에선 금융당국이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의 부실채권 현황을 살펴보는 것도 연체율 우려를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진단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연체채권 금액이 상대적으로 큰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 등을 현장 점검에 나설 전망이다.

코로나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 수순을 밟으면서 업계에선 금융회사의 연체율이 높은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란 이른바 '9월 위기설'이 떠오르고 있다. 금융당국이 코로나 금융지원의 만기 연장은 자율협약에 의해 2025년 9월까지 연장하기로 했지만, 채무자 가운데 부실 위험이 높은 상환유예 대상자는 올 9월까지만 지원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대출 상환을 유예받은 차주는 오는 10월부터 원리금 상환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A 카드사 관계자는 "코로나 지원을 받은 차주들의 상환 일정이 돌아오면서 9월경을 전후로 각 금융회사의 연체율이 치솟을 것이란 위기설이 돌고 있다"며 "대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건 주로 은행이지만, 2금융권도 여파를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금융권 전반의 연체율은 이미 상승하고 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3월 말 기준 연체율은 각각 5.07%, 2.42%였다. 카드사와 캐피탈사 역시 1%대 중후반으로 올라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의 경우엔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이 5.59%, 캐피탈 3.46%, 카드사가 2.51% 순이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부동산 PF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 5.07%, 캐피탈 2.31% 등이었다.

업계에선 금융당국이 최근 2금융권의 부실채권을 살피기로 한 것도 이러한 상승 추세를 진정시키려는 목적이라고 진단했다. 부실채권의 상각 또는 매각으로 연체율을 선제적으로 관리해 향후 리스크에 대비하겠다는 목적으로 분석된다.

부실채권을 상각하면 금융회사는 대손비용으로 쌓아놓은 손실을 확정하면서 연체율을 낮출 수 있다. 부실채권 매각의 경우에도 기존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매각할 수 있었지만, 당국이 개인에 이어 자영업자의 연체채권 민간 매각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B 카드사 관계자는 "부실채권 상각은 자산관리의 한 일종인데,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큰 채권을 아예 북에서 떼어내면서 손실을 확정하는 것"이라며 "금융회사가 손실을 보지만 그만큼 연체율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생경제와 연관이 큰 연체채권을 민간에 매각하면 과잉 추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당국이 연체율 관리에 방점을 찍고 민간 매각의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캐피탈사 관계자는 "코로나 시절 연체율이 워낙 바닥에 붙어있다 보니 문제가 되는 선이 어디냐고 말하기가 어렵다"며 "연체율이란 숫자보다도 연체 자산 등 질을 함께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금리 상승 과정에서 연체율 상승은 당연한 결과고 유동성 흡수 과정에서 당연히 겪어야 하는 고통이다"며 "연체율 상승이 다소 과대 해석된 부분이 있다"고 부연했다.

nkhwa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1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