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유경 기자 = 맥쿼리 펀드(MKOF)가 복합영화관 업계 3위인 메가박스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가운데 정작 메가박스 경영권을 보유한 중앙일보는 매각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맥쿼리 측은 드래그어롱(보유 지분을 대주주와 동반 매각할 수 있는 권리) 조항을 들어 메가박스 지분 100% 매각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아 최근 티저레터(투자안내서)를 발송했지만, 계약서 조건상 이마저도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메가박스의 지분은 맥쿼리 측(한국멀티플렉스투자주식회사)이 49.99%를 보유하고, 중앙일보 측(제이콘텐트리, 여환주 메가박스 대표, 기타 지분)이 50.01% 보유하고 있다.

7일 이번 딜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메가박스의 매출 비중이 큰 제이콘텐트리는 중앙일보 전체 계열사 중 꼬박꼬박 흑자를 내는 효자 계열사"라며 "중앙일보는 앞으로 메가박스 사업을 더욱 확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제이콘텐트리의 작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천931억원, 426억원이다.

이 중 메가박스의 비중이 매출은 52%, 영업익은 무려 83%를 차지해 제이콘텐트리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다.

나머지 매출과 영업익은 잡지(여성중앙, 쎄씨)와 방송(QTV), 신문(일간스포츠) 등에서 발생한다.

M&A 업계 관계자들은 만일 중앙일보 측이 매각에 나선다고 해도 메가박스 코엑스점의 임대차 재계약을 체결한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메가박스 코엑스점 임대차 재계약 여부에 따라 매각가가 약 2천억원 이상 차이가 날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코엑스점의 임대차 계약은 2020년 만료될 예정으로 2018년쯤 재계약 체결을 하도록 돼 있다.

이번 딜의 핵심 관계자는 "중앙일보 측이 재계약에 나설 경우 코엑스 측과 무리 없이 추가 20년 계약에 성공할 전망이지만, PEF나 대기업이 재계약에 나설 경우 메가박스를 인수하고도 코엑스점만 뺏기는 사태에 이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코엑스 측이 메가박스를 인수한 PE나 대기업과 재계약 협상에 들어가면 코엑스점 임대를 노리는 후보군 간 사상 최대의 '영화관 땅 전쟁'이 벌어질 것"이라며 "대폭 높아질 임대료에 대한 우려와 코엑스점을 뺏기는 사태까지 고려했을 때 약 2천억원 안팎의 비용 보전 조항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메가박스의 작년 매출과 영업익은 각각 1천919억원과 385억원이다. EBITDA(현금창출능력)은 452억원이다.

업계에 따르면 전체 영업익 중 코엑스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에 이른다. 코엑스점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인 수준이다.

코엑스점은 위치가 좋기도 하지만, 낮은 임대료 덕분에 이처럼 높은 영업익을 내고 있다.

메가박스 코엑스점은 1999년 코엑스(한국무역협회) 측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임대차 보증금 150억원에 20년간 연간 임대료는 매출액의 5.04%(최소 보장금 13억4천8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업계가 노리는 알짜 지점임을 고려했을 때 임대료는 매우 낮은 편이다.

실제로 코엑스 측은 2007년 메가박스 100%를 보유했던 맥쿼리 측에 임대료를 매출액의 7%로 높여야 한다며 소송을 걸기도 했다.

2009년 맥쿼리가 메가박스 매각에 나섰을 당시 인수후보군들은 '코엑스 임대료 리스크'를 반영해 가격을 써냈고, 이 때문에 인수가가 맥쿼리 측이 원하는 수준에 훨씬 못 미쳐 매각이 불발되기도 했다.

당시 인수에 나섰던 롯데와 SKT는 1천억원 안팎의 가격을 제시했으며, CJ는 코엑스 점포만 떼어내서 사겠다고 제안했다.

이후 메가박스는 2011년 당시 업계 4위이던 중앙일보 계열의 시너스와 합병했다.

M&A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수 후보군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메가박스 매각가는 3천억원 이하"라며 "코엑스점의 재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가박스의 매각가는 시장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M&A 업계에 따르면 메가박스 계약서 상의 드래그어롱 조항은 매각가가 현재 인수 예상가로 제시되는 약 6천억원을 훌쩍 뛰어넘어야만 효력이 발휘된다. 이 때문에 맥쿼리가 중앙일보의 보유 지분까지 강제 매각하는 것도 불가능할 전망이다.

M&A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맥쿼리의 이번 매각 추진이 성사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IPO(기업공개)에 나서 엑시트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yk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