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평택~수원~광명~서울~문산을 연결하는 총 122km의 고속도로 사업을 민자 방식으로 추진 중이다.
이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현재 운영 중인 수도권의 봉담~동탄, 평택~음성 및 영동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며 수도권 서부 지역 주민은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정체를 겪는 서해안고속도로를 우회하는 편의를 누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현재 핵심 구간인 광명~서울구간이 일부 주민의 반대로 지연되면서 평택~문산간 고속도로 전체 사업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왜 우리 지역 통과하나 = 전체 사업은 6부 능선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이미 평택~수원(38.5km)간은 개통됐고, 수원~광명(27.4km)간은 지난 4월 착공했으며 서울~문산(35.6km)간은 2013년 착공을 목표로 설계작업 중이다.
유일하게 전체 구간의 허리 지점인 광명~서울(20km)간 사업이 일부 주민의 민원으로 전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7년 이 구간의 우선협상 사업자로 코오롱건설 등 10개 기관이 참여한 서서울고속도로㈜가 선정된 지 4년째다.
반대하는 주민들은 방화동 일대에 고속도로가 놓이면 녹지파괴, 먼지, 소음, 아파트 가격 하락, 매연 등의 문제가 야기되며 이 구간을 다른 곳으로 돌리라는 요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강서구 방화동 일대를 통과하는 것으로 계획된 광명~서울간 노선의 추진이 더 늦어지면 교통 혼잡에 따른 피해도 예상된다.
남측의 수원~광명간과 북측의 서울~문산간 노선을 이용한 차량이 광명시와 강서구의 기존 도로에 쏟아져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고속도로 지하화로 '문제해결' = 서서울고속도로㈜는 광명~서울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기 때문에 주민이 우려하는 부작용이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서서울고속도로의 한 관계자는 "주민거주지역 통과노선 대부분을 방화로의 30~40m 지하를 통과하도록 설계해, 주민의 우려가 현실화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도 "광명~서울 고속도로 자체가 지하화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매연을 제거하는 장치가 설치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광명~서울간 구간은 그동안 정부가 민자사업에 부여해 오던 건설비 보조나 최소운영수입보장(MRG)이 없다. 또 통행료도 한국도로공사가 운영중인 고속도로와 비슷한 수준인 1.05배에서 저렴하게 책정될 계획이다.
서서울고속도로의 다른 관계자는 "이 구간이 완공되면 수도권이나 강서구 주민의 교통편의에 큰 도움이 돼, 연간 1천800억원대의 편익이 생긴다는 분석이 있다"며 "고속도 건설에 대한 주민과 지역 국회의원의 협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허리잘린 고속도로의 '부작용' = 광명~서울 구간이 다른 구간과 일정을 맞춰서 건설되지 못하면 다른 구간의 운영수입에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용 고객 입장에서 허리가 잘린 고속도로를 돈 내고 이용할만한 편의성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럴 경우 현재 추산으로 수입감소액은 총 700억원대이다.
또 반대 주민의 의견을 수용할만한 대체지가 마땅치 않은 점도 문제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방화동 일대에 계획된 광명~서울 고속도로를 다른 곳으로 돌리고 싶어도 공간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서쪽의 김포공항과 동쪽의 마곡지구에 막혀 대안이 될만한 공간이 전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자들은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주민을 달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서서울고속도로㈜측은 고속도로를 지화하하려면 변전소를 세워야 한다며 이 변전소 상층부에 체육시설, 독서방 등 주민을 위한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명~서울 구간이 사업이 조속히 추진되려면 오는 26일 올해 마지막으로 예정된 정부의 민간투자심의에 안건으로 상정돼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 고속도로망 계획>

liberte@yna.co.kr
(끝)
이종혁 기자
liberte@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