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물가와 성장률이라는 양대 조건 이외에 한미 금리차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을 부추길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1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고용 상황과 한미 금리 차를 한은의 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았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달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경제 성장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유지하고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에 수렴하면 금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은은 한국의 잠재성장률 수준을 2.8~2.9%로 보고 있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2.9%고, 한국의 2분기 성장률도 전년 대비 2.9%임을 고려하면 잠재성장률 수준은 무난히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물가 목표도 달성이 유력하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폭염으로 농수산물 가격이 상승하고, 추석으로 9월 물가가 오를 수 있다"며 "원화 약세와 유가 상승까지 고려하면 4분기에 물가상승률이 2%에 근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표면적으로 이 총재가 직접 언급한 금리 인상 조건 달성이 모두 가능해 보이는 데다 한미 금리차도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물가와 성장률 조건은 명분"이라며 "한은이 가장 부담스러워 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 확대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도 그렇고, 일본은행(BOJ)도 예상보다는 긴축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한국도 통화정책을 그대로 두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나온 7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서도 한 금통위원은 "(완화 정도 축소는) 미국 연준과의 정책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잠재적 불안요인을 완화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한 바 있다.

또 금리 정책과 관련해, 고용도 눈여겨봐야 할 지표로 꼽혔다.

고용은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이기도 하고, 현 정부 들어 고용 상황에 대한 당국의 민감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7월 금통위 회의를 하루 앞두고 나온 6월 취업자 증가 규모는 5개월 연속 10만 명 전후에 그쳐 당시 만장일치 금리 동결론을 강화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다른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고용 지표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나타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는 고용이 금리 움직임에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