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서울 채권시장에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와 시장 금리의 가파른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는 동의하면서도 통화당국의 거친 압박에 시장의 기대가 일제히 한곳으로 쏠리는 데 따른 참가자들의 고충이 곳곳에서 전해진다.

14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시장참가자들 사이에서는 금리 상승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고 3년과 10년 금리는 상단 수준으로 여겨지던 1.5%와 2.0%를 돌파한 뒤에도 계속 오르고 있다. 전일 3년 금리는 2.4bp 오른 1.525%, 10년 금리는 3.1bp 상승한 2.037%에 장을 마쳤다.

한은이 올해 10~11월 중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에 더해 내년 상반기에 또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진 영향이다. 시장의 전망에는 정부와 한은의 언급이 결정적인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국회에서 "금리가 올해 한 번 인상됐지만 한 번으로 그칠 것 같지 않다"고 말했고, 며칠 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8월 금리인상 이후 정책금리는 인상 사이클"이라고 화답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금리의 움직임을 보면 1.25%의 기준금리를 미리 예상한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며 "단기 금리가 갑자기 밀린 것도 후행적으로 생각을 바꾼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올릴 경우 나타날 경기 둔화 효과도 우려된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통화정책 정상화에 오랜 시간을 들인 덕분에 유럽중앙은행(ECB)의 실수를 피해간 사례를 기억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가 한참 지난 이후에야 금리 인상에 나선 반면 ECB는 1%까지 내렸던 금리를 2011년 중반에 두 번 인상했고, 이후 유로존 재정위기를 맞은 바 있다.

금융시장의 관계자는 "한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도 나와 있듯이 기준금리 인상은 성장률과 물가에 분명히 네거티브한 영향을 준다"며 "한은이 2017년과 2018년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도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렸고, 그때도 금융안정에 대한 명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시장의 기대가 형성됐기 때문에 한은이 기준금리의 실제 인상에 있어서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8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에는 국가 전체적으로 경제 주체들이 당국의 방향성을 인지했고, 왜 하려는지도 인식했다고 본다"며 "경제 주체들이 이 정도로 인지하고 준비했다면 정책도 더 큰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은이 경기를 살리겠다고 유동성을 공급해 단기자금시장과 채권시장을 키워놓고 지금은 너무 거칠게 돌려세우는 것 같아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