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계 유통 플랫폼이 국내 온라인 유통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국내 제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부랴부랴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마련해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고, 국회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8일 국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은 전일 정책조정회의에서 "중국 온라인 직구 제품이 음식료, 자동차, 화장품, 가전, 의류 거의 모든 생활용품을 망라하고 있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싸니까, 싸도 황당하게 싸니까 일단 좋을지 모르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국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완전히 몰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계 유통 플랫폼은 '짝퉁' 상품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지만, 과거와 달리 환불이 쉬워지고 배송 지연 문제도 개선돼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유사한 국내 제품에 비해 가격이 5분의 1, 10분의 1 정도까지 낮아, 소비자들은 제품 가격에 '0'이 하나 빠진 것 같다는 반응이다.

테무 홈페이지 화면 캡처

 


중국계 쇼핑 앱의 이용자 수는 폭증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 앱의 한국인 사용자 수는 전년 대비 130% 늘어난 818만명으로 집계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사용자 수 순위로 보면 쿠팡이 1위를 지켰지만, 알리익스프레스가 2위를 차지해 11번가를 제쳤다. 테무는 G마켓에 앞서는 4위였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중국 직구 플랫폼은 관세·부가세나 여러 가지 인증 비용이 제외되니 기존 중국 제품보다도 더 가격 경쟁력이 더 있다"며 "국내 중소 제조업들이 생산한 제품들이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고 설명했다.

홍성국 의원은 "중국산 중간재가 한국에 들어올 수 있는 교두보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만들어 가고 있다"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규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TF를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

정부는 전일 국무조정실이 주관하는 '해외직구 종합대책 TF'를 구성해 해외 직구 물품 안전 관리와 소비자 피해, 국내 기업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국회에 계류 중인 '플랫폼 공정 경쟁 촉진법(플랫폼법)'에 이런 상황을 반영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플랫폼법은 거대 유통 플랫폼의 자사 우대, 끼워 팔기, 경쟁플랫폼 이용 제한 등을 규제하기 위한 법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국회와 협력해 추진해왔지만, 혁신을 옥죄고 해외 기업은 규제를 회피할 때 국내 플랫폼 업체만 피해를 볼 것이라는 반대 의견에 부딪혀 동력을 다소 상실한 상태였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매출을 올리는 그런 판매자나 중개업자를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가야 될 것"이라며 "플랫폼법이 제대로 만들어져야 국내 플랫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중국 앱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고물가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재작년부터 고물가 현상으로 소비자의 고통이 심해졌다"며 "우리나라 기업들도 진작에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0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