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정현 기자 = 향후 우리 경제는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나타내며 수출과 내수 간 격차가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전망이 나왔다.

가계의 소득이 개선되는 동시에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으로 인한 가계 실질구매력이 호전되면서다. 다만 고령화·저출산 등 인구구조적 요인, 자영업자 업황 부진은 소비 회복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어 보인다.

23일 한국은행은 '최근 민간소비 흐름 평가'를 주제로 한 보고서를 통해 "민간소비의 경우 금년 상반기 이후 증가세가 확대되며 앞으로 점차 회복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먼저 그간 민간소비 회복이 지연됐던 이유를 분석했다.

그러면서 ▲높은 물가수준 ▲고금리 등으로 인한 원리금 상환부담 ▲소득개선 지연 ▲여타 구조적 특이요인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제시했다.

팬데믹 이후 물가상승이 누적되며 민간소비 회복 지연 요인이 됐다는 평가다. 특히 필수재 비중이 높은 생활물가는 올해 7월 현재 2020년 말 대비 16.3% 상승했다. 이에 취약계층의 구매력이 크게 위축됐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3040·소득 중상층·소비수준 상위층으로 구성된 금리상승 손해층의 경우 고금리로 인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며 소비를 제약했다.

실제 신용카드 미시 데이터를 보면 소득 중상층 가운데 부채 수준이 높을수록 카드 사용액 증가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줄어들고 자영업자의 업황이 부진한 등 요인에 따라 가계의 소득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작년 대기업 실적 부진으로 올해 1분기중 상용직 특별급여는 전년동기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노후대비 부족으로 크게 하락하고 있는데 고령층 비중이 확대된 점은 경제 전반의 소비성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앞으로는 민간소비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업실적 개선에 힘입어 명목임금 상승률이 확대되고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으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개선된다는 예측에서다.

실제 명목임금 상승률은 올해 1분기 1.3%로 낮아졌다가 4~5월 3.8%로 높아지며 회복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정액급여 상승률이 장기평균(3.5%) 수준의 오름세를 이어가고 특별급여도 회복되며 급여 개선세도 확대될 것으로 한은은 봤다.

아울러 물가상승률이 완만하게 둔화되며 1인당 실질임금 증가율은 올해 2분기 이후 플러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구구조적 요인과 자영업자 업황 부진은 소비 회복 속도를 다소 늦출 가능성이 있다.

이준호 한은 조사국 과장은 "향후 우리 경제는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나타내며 수출·내수간 격차가 점차 축소돼 보다 균형 있는 성장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

 

jhkim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