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이 지난해 '보통' 수준의 내부통제 성적표를 받았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에 따르면 75개사가 평균적으로 3등급(보통) 수준을 기록했다.

소속 설계사 500인 이상 GA가 대상이며 90점 이상이면 1등급(우수), 80점 이상 2등급(양호), 70점 이상 3등급(보통), 60점 이상 4등급(취약), 그 미만이면 5등급(위험)으로 나뉜다.

지난해 1~2등급은 29개사(38.6%), 3등급은 24개사(32.0%)였으며, 4~5등급은 22개사(29.3%)를 차지했다.

특히 규모에 따라 내부통제가 차등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속설계사 1천명 미만 대형 GA의 경우 4~5등급 비중이 52.0%로 1천명 이상 대형 GA(30.0%)보다 높았다.

반면에, 3천명 이상 GA 총 20개사 가운데 1~2등급은 16개사(80.0%), 3등급은 4개사(20.0%)였다.

또한, 지사·지점들이 연합해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지사형 대형 GA는 4~5등급 비중이 47.1%로 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형(20.0%), 오너형(13.6%)보다 취약했다. 본사의 지점 통제 수준에 따라 내부통제가 다른 모양새다.

내부통제 실태 평가 부문 중 통제환경 및 효과는 3등급이었지만, 통제활동은 종합평가 등급보다 낮은 4등급에 그쳤다. 이는 내부통제 체계 구축보다 내부통제 활동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을 의미한다.

금감원은 평가결과를 대형 GA에 개별 통보해 개선계획 제출을 요구하는 등 내부통제를 개선하도록 독려하는 동시에 저조한 대형 GA를 우선 검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금감원은 평가를 점차 고도화해 대형 GA가 금융사에 상응하는 내부통제 수준을 갖추도록 유도하며 법규 위반 행위 발생 시 엄정하게 제재해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yg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