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설문조사



(서울=연합인포맥스) 태문영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국 국채를 직매입하는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인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WSJ가 지난 7일부터 11일까지 49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 중 약 72%는 이달 말 종료되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가 국채 직매입으로 대체될 것으로 내다봤다.

조사 결과 4%만이 오퍼레이션트위스트가 종료되고 새로운 경기부양책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점쳤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동시에 Fed가 채권 매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Fed의 장기 국채 매입이 시장 가격을 왜곡하기 시작했다는 판단에서다.

응답자 중 52%는 Fed가 채권 매입을 그만 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48%는 채권 매입을 계속하는 편을 선호했다.

웰스파고증권의 존 실비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양적 완화가) 시장 가격을 왜곡하고 있으며 앞으로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면서 양적 완화가 노동시장 문제를 크게 개선하지도 못하면서 장기 국채 가격만 너무 비싸졌다고 설명했다.

Fed 관계자들은 양적 완화(QE) 조치가 장기 금리를 끌어내려 대출과 소비, 투자를 촉진하면서 경기를 부양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앙은행의 채권 매입에 따른 역기능이 순기능보다 크다고 우려했다.

단기 국채를 팔고 장기 국채를 사는 오퍼레이션트위스트에서는 대차대조표가 줄어들지 않았지만, Fed가 국채 직매입을 선택하면 대차대조표는 더욱 확대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리스크는 경제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한편, 12월 FOMC에서는 금리 가이던스 표현방식을 수정한다는 발표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Fed는 지난해 8월부터 금리 인상 예상 시기를 제시한 금리 가이던스를 공개하는데, 그동안 내부에서 현재의 금리 가이던스가 시장에 너무 많은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금리 인상 시기를 제시하는 대신 기준금리를 조정할만한 구체적인 경제 상황을 명시하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라 나왔다.

그러나 어떤 지표를 사용해 경제 상황을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려 합의는 쉽게 나오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바클레이즈의 딘 마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실행 계획이 매우 복잡하다"며 "Fed 내부에서 실업률 전망치를 7%로 합의하는 동안 실업률은 이미 7% 아래로 떨어져 있을 것이라는 농담을 하곤 한다"고 말했다.

myta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