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에서 "주요 2개국(G2) 정책 이벤트에 따라 지수의 단기 반등은 가능하지만, 유럽 재정위기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이 모두 제한적인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 "방향성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종목을 잘 선정해 수익을 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 연구원은 종목을 선택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는 미국과 중국의 소비 모멘텀 상승을 대비해 소비관련주를 선택하라는 것이다. IT주가 대표적인 예다.
두 번째는 내년 실적 개선 가능성과 연말 윈도 드레싱, 배당 수요를 고려해 실적과 수급이 뒷받침되는 종목을 선택하라는 조언이다.
윈도 드레싱은 기관투자가들이 결산기를 앞두고 보유 종목의 종가관리를 통해 펀드수익률을 끌어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내년 한국과 중국의 정책 방향이 내수 경기 부양에 초점이 맞춰 있는 만큼 필수소비재 섹터에서 선별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조언이다.
임 연구원은 이번 주 국내 증시는 유럽 이외에도 미국과 중국의 정책 이벤트에 따라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13일(미국 동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2~14일(현지시간) 중국 경제공작회의에 주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최근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 결과가 대체로 예상보다 양호한 편이고, 연말소비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 3차 양적 완화(QE3) 도입과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은 제한적이었다"면서도 "2% 미만의 저성장 기조가 내년에도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 경기부양 조치가 나올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경제공작회의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임 연구원은 예상했다.
그는 "중국은 경기 연착륙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대폭 완화돼 내년 내수 진작을 위한 통화 완화 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sychung@yna.co.kr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