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전기차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나 한국기업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시장지배력과 일본의 기술력 사이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경쟁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4년 30%를 웃돌던 한국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이 지난해 11%대에 불과했다"면서 "한국 대표기업들의 시장입지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기차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CATL, 비야디 등 중국기업과 테슬라와 같은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한 일본의 파나소닉과 달리 LG화학이나 삼성SDI 등 한국기업의 위상이 쪼그라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경연은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차 중심으로 생산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고,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한국기업의 시장점유율은 줄어들고 있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한·중·일 3국의 배터리산업 경쟁력을 비교하더라도 한국이 3국 중에서 가장 취약하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그러면서 한경연은 한·중·일 3국의 경쟁력을 비교한 종합 순위는 10점 만점에 중국이 8.36, 일본이 8.04, 한국이 7.45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한국은 기술, 시장점유율, 사업환경, 성장 잠재력 4개 부문 중에서 기술경쟁력은 일본에, 성장 잠재력은 중국에 각각 뒤처졌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시장점유율과 사업환경 분야에서는 최하위였다고 덧붙였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산업의 애로 요인으로는 '세계시장 경쟁과열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33.3%로 가장 컸으며, '재료 수급 안정성 확보' 30.7%, '제도적 지원 부족' 17.3% 등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내 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부품소재 기술투자 확대'(37.3%)가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아울러 '핵심재료 안정적 확보'(22.7%), '제도적 지원 강화'(21.3%)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한경연은 전문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전기차 배터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재료·인프라 3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 R&D 인력 확보를 병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