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정원 기자 = 중국 지도부는 인터넷 기업이 아닌 제조업이 경제를 이끌어가기를 원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 보도했다.

WSJ은 투자자 입장에서 중국이 알리바바, 텐센트, 디디글로벌 등 빅테크를 규제하는 것은 자살행위처럼 보이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의견은 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술은 필요한 기술과 있으면 좋은 기술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차량공유서비스나 그룹 채팅 등은 필요한 기술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보다는 중국의 제조업을 유지할 수 있는 최첨단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상업용 여객기, 통신장비 부문에 집중할 경우 탈산업화도 피하고 해외 의존도도 낮출 수 있다.

매체는 중국 정부가 인터넷 기업에는 전방위적으로 규제를 퍼부으면서도 제조업 관련 업체는 보호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유라고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실제로 지난해 공산당 이념지 치우쉬를 통해 "중국은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디지털 정부의 건설을 가속해야 한다"면서도 "동시에 실물 경제가 기반이며 다양한 제조업도 포기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WSJ은 역사적으로 국가가 발전함에 따라 농업은 제조업이 대체하고, 제조업은 서비스업이 대체하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미국, 영국 등의 선진국에서도 최근 수십 년간 제조업의 비중이 줄었다고 지적했다.

중국도 제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는 있으나 여전히 국내총생산(GDP)의 26%로 주요국 중에서는 최고다.

매체는 중국이 탈산업화의 길을 따라가길 원치 않으며 현 수준을 유지하고 싶어한다고 설명했다.

WSJ은 중국이 인터넷기업의 경우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예를 들어 앤트그룹은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으로 본다.

온라인 교육업체는 사회적 불안감을 가중할 수 있다고 보며 온라인 게임 등은 중국 관영매체의 표현대로 정신적인 아편과 같은 존재로 판단한다.

반면 제조업은 시장가치에 포함되지 않은 이익이 있다고 인식한다.

수십 년간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높여주며 필수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가져다줬기 때문이다.

매체는 미국 정치인들도 빅테크가 경쟁 저해, 사생활 침해, 잘못된 정보 확산, 온라인 중독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나 자본을 분배하는 데 있어서 미국의 경우 정부가 민간보다 한 발 뒤에 있다는 점이 중국과의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자본 분배에 있어 정부가 민간보다 더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WSJ은 중국의 방향이 옳다고만은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다른 국가를 따라잡아야 할 것이 많은 상황에서는 국가 발전을 위한 산업에 자금을 투입했을 때 큰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현재의 중국은 이미 따라잡은 상황이다"라면서 "이 때문에 수익은 곤두박질쳤고 중국 내 일부 산업은 이미 과잉 설비와 부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국내 시장은 공장이 생산하는 것을 모두 소화할 수는 없다"면서 "남는 부분은 수출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jw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3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