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남경 기자 = 연초 금융지주와 은행 등 금융회사의 활발한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카드사까지 확장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연이은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카드사의 매출 구조가 '박리다매'로 변하면서 자본 적정성 관리의 필요성이 생겼고, 신종자본증권 발행 유인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연이은 신종자본증권…카드 업계로 확장되나

20일 투자금융 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오는 3월 최대 2천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5년 조기상환청구권(콜옵션) 조건이 포함됐다.

수신 업무가 불가능한 카드사는 통상 여전채와 기업어음(CP),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이들 조달 방식의 변제 순위가 신종자본증권보다 앞에 있어 금융비용의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다만 신종자본증권은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다는 점에서 최근 카드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14일 신한카드가 금융지주의 도움을 받아 3천억 원 규모의 사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또 롯데카드까지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준비하면서 카드사 전반에 이러한 분위기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사가 종종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긴 하지만, 1년에 한 두 차례 있을 정도로 예외적인 일"이라며 "자본 적정성을 관리해야 하는 카드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8년엔 현대카드, 2019년 롯데카드, 2020년 우리카드, 2022년과 올해에는 신한카드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시장 분위기를 보고 있는 정도이다"며 "구체적인 발행 시점이 정해진 건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레버리지 배율' 규제…카드사 근접

금융당국의 자본 적정성 규제가 카드사의 자본 확충을 유도하고 있다.

당국은 카드사의 과도한 외형 확대 경쟁을 차단하기 위해 레버리지 배율(자본금 대비 자산 비율) 한도를 8배로 규정하고 있다. 또 당국은 1년간 당기순이익의 30%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카드사의 경우 한도를 7배로 제한한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기준 국내 7개 전업카드사의 레버리지 배율은 3.8~7.2배 수준이다. 우리카드(7.2배), 롯데카드(7.1배), 현대카드(7.1배) 등은 올해 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 배당 규모에 따라 금융당국의 규제를 피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셈이다.

카드사들이 CP 발행을 적극적으로 늘려온 점도 레버리지 배율에 영향을 준다. CP는 차입금으로 레버리지 배율 산정 시 부채로 반영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카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카드사가 레버리지 배율에 근접한 상황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배당 규모까지 고려하면 카드사의 자본 확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리다매 구조…자본 확충 필요

업계에선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 카드사의 수익 구조가 '박리다매'로 변했다는 점을 근본적인 어려움으로 꼽는다. 지난 2007년부터 올해까지 총 14차례에 걸쳐 가맹점 수수료율이 인하되면서 자산의 이익률이 지속해서 하락한다는 지적이다.

카드사는 기존의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해 박리다매를 해야 하고, 늘어나는 자산으로 인해 자본 확충의 필요성이 늘어나는 게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박리다매 구조에선 자산의 볼륨이 계속 늘어나고 이에 맞춰 자본도 늘려야 한다. 회사가 성장을 해야 하는데 레버리지 배율에 걸리게 되면 말 그대로 장사를 못하는 상황이 오는 것"이라며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늘어나는 것도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종"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 금융중심지 여의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nkhwa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4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