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심 싸늘, 내주 발행물 주목…반사효과 얻는 곳도

(서울=연합인포맥스) 피혜림 기자 = 철근 누락 등으로 인한 이른바 '순살 아파트' 파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물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보증한 PF 유동화물에 대한 투자자 모집이 녹록지 않은 상황으로 전해진다.

다만,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인정받는 'A1' 증권사 확약물과 고금리 메리트가 부각되는 'A3'급 건설사 보증물이 오히려 반사효과를 누리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건설사 PF 유동화물 피하자"…투자자 기피 심화

8일 연합인포맥스 'CP/전단채 유통-건별 체결(화면번호 4740)'에 따르면 지난 3일 발행한 특수목적회사(SPC) 에스이디제일차가 발행한 3개월물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당일 6.65~6.70%에 거래됐다. 이는 롯데건설의 자금보충 의무로 'A2+(sf)' 등급을 받고 있다.

롯데건설 신용도로 발행되는 PF 유동화물의 경우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3개월물 기준 6.5~6.6% 수준의 금리를 형성했다. 일례로 지난달 7일 찍은 비알지알제일차 ABSTB는 당일 6.55% 수준에서 거래됐다.

최근 철근 누락 사태 등으로 건설사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이들이 보증한 PF 유동화물 투자 심리도 얼어붙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A1) 정도가 아니면 건설사가 보증한 PF 유동화물 소화가 만만치 않다"며 "철근 이슈가 부각된 GS건설은 물론, 차환 물량이 상당한 롯데건설 또한 보증물 모집이 쉽지 않아 금리를 조금 올려 내놓기도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지난달 GS건설(A2+) 신용도로 발행한 PF 유동화물은 투자 기피 현상을 여실히 드러냈다. 지난 12일 롱비치제일차가 찍은 PF ABSTB는 발행액 296억 원 중 20억 원만이 사전에 투자자를 찾은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연합인포맥스 'CP/전단채 유통-건별 체결'에 따르면 해당 ABSTB는 발행 당일 거래 기록이 없었다. 이후 지난 3일부터야 유통된 사실이 드러난다.

앞선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GS건설이 연대 보증한 PF 유동화물의 경우 최근 각종 이슈 등으로 투자자들이 외면하면서 20억 원 정도밖에 시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슈가 있는 기업을 기피하다 보니 시장 매각이 쉽지 않아지면서 결국 주관사가 남은 물량을 들고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내주 발행을 앞둔 GS건설 보증물을 주시하고 있다. 오는 14일 GS건설이 연대 보증한 알에스블루 ABSTB가 만기를 맞는 터라 이날 차환 발행을 마쳐야 한다. 조달 규모는 440억 원 수준이다.

GS건설의 경우 신용 보강한 PF 유동화물이 비교적 많지 않다는 점에서 이번 발행물이 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지표가 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달 찍은 PF 유동화물 투자 심리가 싸늘했던 터라 발행을 앞둔 유동화물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안정성·금리 메리트 좇아 반사효과 얻는 곳도

건설사가 보증한 유동화물에 대한 투자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오히려 증권사 확약물이 혜택을 받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증권사가 매입 확약한 PF 유동화물의 경우 대부분 'A1(sf)' 등급의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인정받는다.

이에 최근 리스크 회피 성향이 강해진 투자 수요가 증권사 확약물로 이동하는 모습 또한 드러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고금리 메리트 등에 힘입어 일부 'A3'급 보증물이 강세를 드러내기도 했다.

동부건설(A3+)의 3개월 PF 보증물의 경우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10%대 금리를 형성했으나 이달 한 자릿수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A3급의 경우 고금리 메리트를 누릴 수 있지만 물량은 많지 않다는 점에서 기업 리스크가 크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도리어 매수 경쟁이 치열한 모습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무량판 민간 아파트 점검을 시작하는 등 건설사에 대한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이들의 PF 보증물에 대한 투자 심리에 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보강 비용 및 안전성 등에 대한 문제가 정리돼야 위축된 심리가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태가 진정되면 GS건설 등 1군 브랜드 업체들에 대한 우려는 수그러들 것으로 기대한다"며 "결국 건설업 내 양극화 현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phl@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1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