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산업이 막대한 규모의 자금을 빨아들이는 가운데 글로벌 연기금도 엮여 들어가면서 '대마불사'의 볼모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AI 인프라에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면서 부채 조달 비중도 급증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연기금의 자금이 상당 부분 'AI 테마'에 묶이고 있는 것이다. 최근 금융시장을 짓누르는 'AI 거품론'이 현실화한다면 노후자금인 연기금의 손실분을 메우기 위해 각국 정부들은 어쩔 수 없이 구제금융에 나서야 할 가능성도 점쳐진다.AI 인프라 투자에서 특히 연기금의 익스포저(위험 노출)가 커지고
"대통령은 항상 찬성하는 사람과 반대하는 사람 둘 다 들어와서 토론하길 원한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꼽히는 케빈 해싯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말이다.지난 12일 개최된 워싱턴 포럼에서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그룹 공동 회장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사모펀드의 거물조차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어떤 식으로 만들어지는지 궁금해한 것이다.그도 그럴 것이, 트럼프 대통령은 누가 봐도 '외골수'다. 자신의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을 일단 '그대로 가'하는 경향을 보여줬기 때문이다.해싯 위원장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난주 시장 참가자들은 오픈AI의 '이기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오픈AI의 사라 프라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사모펀드와 은행, 연방 정부의 보증(backstop)이 결합한 새로운 금융 구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막대한 규모의 AI 관련 인프라 투자를 계획하면서 미국 연방 정부의 채무 보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이를 두고 납세자들의 세금으로 자신들만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프라이어는 발언을 철회했고
지난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콧 베선트 '사랑'이 듬뿍 묻어나는 기간이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일본에서 열린 기업인 만찬 행사에서 베선트 장관을 상대로 "감사하다"면서 일으켜 세운다.그러면서 "베선트는 아주 훌륭한 일을 하고 있다"면서 "그는 텔레비전에 너무나 잘하고 있다"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그는 시장을 진정시킨다(soothe the markets)"면서 "나는 시장을 진정시키지 않는다. 때로 시장을 흔든다"고 아주 객관적으로 스스로와 베선트 장관을 평가했다.투자자 뇌리에는 지난 4월 초의 '해방의
최근 미국 지역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NBIF)의 부실 대출 문제가 불거지면서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NYS:JEF)로 특히 월가의 이목이 집중됐다.자이언스뱅코프(NYS:ZION)나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NYS:WAL)도 부실 대출 문제가 터지면서 우려의 대상이 되긴 했다. 하지만 제프리스는 금융 엘리트들이 선호하는 월가의 투자은행이라는 점에서 왜 그런 투자를 했는지 더 화제가 됐던 것이다.제프리스는 리그테이블에서도 톱10 안에 드는 주요 투자은행인 것은 사실이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올해 들어 8월까지 집계한 글로벌 투자
뉴욕 금융시장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달러 바닥론'이 관심을 끌고 있다.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종가 기준으로 작년 말 108.450에서 지난 17일 98.535로 내려왔다. 9% 넘게 빠졌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독립성 우려,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경기 우려) 등이 달러에 약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배녹번 캐피털 마켓의 마크 챈들러 수석 시장 전략가는 "3~6개월 전망으로 보면 달러는 약세를 보일 것"이라며 "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0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선 중국 정부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향한 확연한 분노가 느껴졌다.트럼프는 이날 오전 게시글에서 "중국에서 매우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들은 점점 더 적대적으로 변하고 있다", "세계를 '인질'로 잡고 있다" 등의 표현을 썼다. 같은 날 오후에 올린 글에서도 "중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극도로 적대적인' 서한을 보냈다", 그런 조치는 타국과의 관계에서도 도덕적 수치" 등의 표현까지 썼다. 원래 트럼프의 언사가 정제되진 않았지만 이날 표현들은 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명으로 신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된 스티븐 마이런이 150bp의 금리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을 두고 월가에선 뒷말이 이어지고 있다.불과 1년 만에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입장이 180도 달라지면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너무 종속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마이런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50bp 금리인하에 투표하며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150bp 인하돼야 주장했다. 금리 결정 투표권을 가진 12명의 FOMC 위원 중 유일하게 '빅컷(50bp)'에 투표하며 그는 "지금
"우리는 50,000에서 그리 멀지 않았다(We're not so far away from it)"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50,000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를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에서 구체적 숫자를 거론하며, 일종의 가이던스를 제시한 것은 처음이다.다우지수의 지난주 마감 가격이 46,315.27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8%가량 더 뛴다는 의미다.트럼프 대통령의 이 발언을 보도한 외신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을
지난주 러시아가 드론으로 폴란드 영공마저 침범하면서 동유럽의 군사적 긴장이 가일층 고조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휴전할듯 시간을 끌었지만 속내는 전쟁 연장과 전선 확대에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러시아가 폴란드를 침공하는 것은 우크라이나와는 얘기가 다르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폴란드를 침공하는 것은 자동적으로 나토 회원국, 즉 유럽 주요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전쟁을 일으키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이번 드론 침투를 두고 러시아가 전면전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분석은 아직 소수 의견이다. 러시아로서도 나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