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새해 벽두부터 공매도가 극성이다.

코스피 전체 거래에서 공매도 비중은 이번주 약 10%까지 급등했다. 지난 해 8월 평균치인 5%에 비해 두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공매도가 급증했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의 매수심리가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과 중국, 일본 증시가 약세를 띠고 있는데다, 주요국의 성장률 둔화와 유가 급락, 기업실적 전망 악화 등 펀더멘털 요인이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

문제는 기관투자자가 전방위적으로 공매도 전략을 강화하게 되면 방어 수단이 약한 개인투자자의 피해가 더 커진다는 점이다.

개인투자자도 대주거래를 통해 공매도와 유사한 전략을 취할 수 있지만 극히 제한적인 게 현실이다.

기관이 전략적으로 공매도를 늘린다면 개인투자자가 피해를 고스란히 볼 수 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국회에 상정된 자본시장법 개정안엔 `공매도 물량이 전체 발행주식의 0.5% 이상이면 공매도 잔고를 공시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2년넘게 계류중이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시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등 순기능 때문에 시행하는 제도지만 투기적인 세력이 이용할 경우 공정가격 형성을 저해하기 마련이다. 개인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공매도 공시가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증권사와 운용사들은 기본적으로 이를 반대한다. 헤지펀드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롱숏' 전략에 차질이 빚어져서다.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현황(※자료:인포맥스 화면 3482)>





<대차거래 현황(※자료:인포맥스 화면 3473)>

물론 공매도 증가를 낙관적으로 해석하는 의견도 있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외국인 투자비중이 6년5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추가적인 외국인 매도가 줄어들 것이라는 신호이고, 공매도 규모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는 것은 시장이 그만큼 저평가 돼 있다는 것이므로 저점 매수세가 유입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시장의 해석과는 별개로 현재 시행중인 공매도 제도가 야기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무엇보다 개인과 기관의 투자 여건 차별에 따른 불공정한 게임을 개선하기 위한 당국의 보완책이나 국회의 개정안 통과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