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정부가 힘을 쏟는 소득분배 정책이 채권시장에 미칠 파장에 참가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직접적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해당 정책이 통화정책 경로 등을 거쳐 채권 금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8일 서울 채권시장에 따르면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일 주재한 소득분배 관련 경제현안간담회에서 소득분배 심각성을 고려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채권시장에서도 소득분배 정책이 화두로 떠올랐다.

일부 참가자는 소득분배 정책에 힘이 실리면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이 늦춰질 수 있다고 봤다.

기준금리 상승에 시장 금리가 오르면 기존에 대출을 받은 저소득층의 이자 지급액이 늘어 소득분배가 악화할 수 있어서다.

고용 악화 등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가계부채 여건까지 고려하면 한은이 금리 인상에 나서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은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으로 부를 이전시키는 소득분배의 심각한 불평등을 초래하게 된다"며 "아무래도 이자를 내는 가계의 소득이 이자를 받는 가계의 소득보다 낮을 것이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같은 사안을 두고 다른 시각도 있다.

다른 참가자는 저금리가 지속하면 자산 가격이 치솟고, 이에 따라 소득의 불평등이 심화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한은의 금리 인상은 자산 가격 안정을 통해 소득분배를 개선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소득분배 정책이 한은의 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요인인 셈이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SG) 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정책의 소득분배 영향 관련) 직접적인 것은 없지만, 금리 인하가 자산 가격을 상승시키고 소득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정도의 논의가 있다"며 "다만 한국의 자산시장이 그 정도로 고평가된 상황에 있다고 보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통화정책과 별개로 소득분배 정책에 수익률 곡선이 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소득분배 정책을 시행하려면 재원 마련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장기 구간 금리가 높아질 수 있다"며 "소득분배 정책이 당장 성장률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면 커브 스티프닝 요인이다"고 설명했다.

외국계 은행의 한 채권 딜러는 "소득분배 정책에 드라이브가 걸리는지도 관전 포인트다"며 "정부 의지에도 정책에 힘이 실리지 못하면 위험 요인으로 인식돼 채권시장에 강세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