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미국의 추가 경기 부양책 가능성으로 국내 증시가 호조를 보였지만, 타결 이후 기대는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증시 전문가들은 13일 그간 미국 재정 지출로 인해 부양책 규모에 한계가 있으며, 타결 시 주가 상승 모멘텀도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추가 경기부양책 규모를 두고 합의가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퇴원하며 경기 부양책 협상을 거부한 뒤 일부 부양책을 촉구했고, 다시 부양책 합의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후 백악관이 증액된 부양책을 내놓았지만, 미 민주당 및 공화당의 반대로 합의 기대는 다소 줄어드는 등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부양책 논의가 오래 이어지며 해당 이슈를 증시에서 대부분 선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주목하는 변수는 미국의 경기 부양책이지만 기대는 낮출 필요가 있다"며 "금융시장이 경기 부양책 이슈에 예민했던 만큼 상당 부분 선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또한 "부양책이 의회를 통과한 이후 단기 상승 모멘텀의 역할도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며 "기대에 의한 상승은 현실화 이후 가격 지표와의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이후 미국의 재정 지출이 늘면서 부양책 규모가 전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점도 주가 모멘텀에 부정적인 이슈다.

미 의회예산국은 지난달 말 기준 올해 재정적자가 3조1천억 달러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간 적자는 15.2%에 달했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재정을 정상화하지 않을 경우 과도한 적자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부양책은 직전보다 규모가 줄 것으로 보고, 증시 기대 수익률도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짚었다.

김승현 유안타증권 또한 "코로나19 이후 미국은 이미 4차례에 걸쳐 2조8천억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확정했고, 적자의 한계도 분명하다"며 "통화정책에서 재정정책으로의 이동이 나스닥과 성장주의 상대 수익률 둔화로 연결됐고, 이는 국내 증시 흐름에도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규모를 떠나 미 경기 부양책이 확정되면 모멘텀 둔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4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