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공매도 재개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공매도 금지 조치 연장이 중소·중견기업의 자금 조달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소·중견기업의 특성상 회사채보다는 메자닌 발행과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 조달이 이뤄지는데 공매도 금지가 이에 대한 기관 투자를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



◇ 메자닌 및 유상증자…중소·중견기업의 주요 자금 조달처

신용등급이 좋지 않은 중소·중견형 기업들은 회사채를 통한 자금 조달에 제약을 받는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AA등급 이상 기업의 회사채 발행은 지난 2019년에 비해 7천억원 증가한 31조8천50억원으로 전체의 75.7%를 차지했다.

반면, A등급 기업의 회사채 발행은 전년 대비 5.5%포인트 감소한 3조930억원, BBB등급 이하 기업의 발행금액은 전년 1.1%포인트 줄어든 6천362억원으로 집계된다.

이같이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기업들은 메자닌과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 주식관련 채권 발행통계(화면번호 4636)에 따르면 지난해 발행된 전환사채(CB) 건은 총 405건으로 이 중 'AAA' 등급을 받은 기업의 CB 발행은 15건에 그쳤다.

아시아나항공과 삼부토건, 제주항공 등을 제외하고는 코스닥 상장사가 발행한 건수가 대부분이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의 경우 총 10건의 발행 중 한진칼과 티웨이홀딩스를 제외하고는 코스닥 상장사의 발행이 주를 이뤘다.

유상증자하는 코스닥 및 코넥스 기업도 여전히 많은 상태다.

지난해 코스닥 기업의 유상증자는 총 33건이며 그 규모는 1조4천429억원으로 집계된다.

코넥스의 경우 273억원, 비상장사는 9천716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진행했다.

지난해 7월 대한항공이 1조1천270억원, 12월 두산중공업이 1조2천12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지만, 해당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중소·중견형 기업의 자금 조달 건수가 많았다.



◇ 중소·중견기업 물량 소화하는 기관…대차거래로 헤지 포지션 필수

회사채 발행이 쉽지 않은 중소·중견기업이 발행한 메자닌과 유상증자 물량은 주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로 소화되고 있다.

다만, 투자와 함께 리스크 관리를 위한 헤지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기관별 리스크 관리 심사부는 헤지 포지션의 유무로 메자닌 및 유상증자 투자 허가를 결정한다.

이때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헤지 수단이 주식선물과 공매도를 포함한 대차거래다.

주식선물의 경우 현재 200여 개 종목에만 한정돼 있다.

거래 종목이 대형주 위주로 구성돼있어 중소·중견 기업의 경우 주식선물 거래를 하기 쉽지 않다.

이에 기관들은 공매도 물량으로 숏(매도) 포지션을 잡아 기업의 메자닌 및 유상증자 투자에 대한 헤지를 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이후 공매도 금지가 지속하면서 투자에 제한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주가 폭락에 공매도를 일시적으로 제한한 것에는 동의한다"면서도 "국제적 형평성을 고려하더라도 공매도가 재개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추구하는 중소기업 발전을 위해서는 원활한 자금 조달이 중요한데 이는 자본시장의 역할"이라며 "규모가 작은 중소형 기업이 발행하는 증권 투자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대차거래를 열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jwchoi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