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무력 충돌로 중동 정세가 불안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원유 수입에서 중동 의존도가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16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수입된 원유(6억6천만배럴) 가운데 중동에서 수입된 원유(4억8천만배럴) 비중은 72.4%로 2018년 1~8월(74.9%)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원유 수입에서의 중동 비중은 80%대를 유지하다 2018년에 70%대로 낮아진 이후 미주·유럽산 원유 비중이 늘며 2021년에는 58.6%까지 낮아졌지만 이후 다시 확대 추세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정유사들이 안정적인 산유국으로 향하면서다.
정부가 미주, 유럽 등 비(非)중동지역에서 수입한 원유에 대해 정부가 비용 일부를 환급하는 원유 도입선 다변화 지원제도를 통해 수입선 다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중동이 상대적으로 가까워 운송비가 저렴한 데다 정유업체 대부분이 중동산 원유에 맞춰진 정제시설을 갖추고 있어 다변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충돌하며 국내 시장은 중동발 불확실성에 크게 노출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의 국내경제 영향' 보고서에서 중동 산유국의 전쟁 개입과 원유 생산 시설 및 수송로 침해 등으로 유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란이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과 연관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될 경우, 이란에 대한 미국의 원유 수출 제재가 강화되면서 세계 원유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란 역시 세계 원유 수송량의 20%를 지나는 호르무즈 해협을 통제해 세계 경제를 압박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로 오는 중동산 원유는 호르무즈 해협을 지난다.
보고서는 국제 유가가 10% 상승하면 한국의 수출은 약 0.2% 증가하고 수입은 약 0.9% 증가해 무역수지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10% 오르면 국내 기업의 생산 비용은 0.67% 상승해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작용한다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단기적으로 원유 수급에 차질이 없지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이다.
hjlee2@yna.co.kr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