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자사주 소각 규모 추이
[출처 :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자사주 제도 개선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금융당국에 국내 증시 상장사도 발을 맞추고 있다.

 

지난달 말 발표된 개선 방안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제외됐지만,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앞두고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는 기업이 늘어난 효과로 분석된다.

13일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에 상장된 법인 중 20개사는 총 3조1천751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소각 계획을 공시했다.

소각 규모 순으로 보면, SK이노베이션과 삼성물산이 각각 7천936억원과 7천677억원으로 가장 컸다. KB금융(3천200억원), 하나금융지주(3천억원) 등 금융지주가 그 뒤를 이었다.

엄수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위원회의 상장법인 자기주식 제도 개선 방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앞두고 상장법인들이 연초부터 잇따라 자기주식 소각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정부 주도의 국내 증시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으로, 2월 중 세부 내용이 공개될 예정이다. 기업 스스로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주도할 수 있도록 공시 체계를 정비하는 내용이 골자다.

국내 기업의 자사주 소각 규모는 2021년 2조5천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4조7천억원까지 늘어났다. 특히 올해는 2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소각 규모가 3조원을 넘어섰다.

금융당국도 자사주 제도 개선에 적극적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30일 김소영 부위원장의 주재로 '상장법인 자기주식 제도개선 간담회'를 열고, 기업의 자사주 취득 및 처분에 대한 규정을 개선하는 내용의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 중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목표로 후속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상장법인이 전체 발행 주식의 10% 이상 자사주를 보유할 경우 그 이유와 향후 관리 계획을 공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제도 개선 이후 상장사는 자사주 처분 시 목적과 처분하는 상대방을 선정하는 이유를 밝혀야 한다.

그간 국내 기업은 자사주를 대주주의 사적 이익을 위해 악용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도 신주를 배정하는 지배구조 개편 방식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제3자에게 자사주를 넘겨 우호적인 의결권을 확보하는 방식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gepar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