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권한 축소할 것…계열사 임원 선임 사전합의제 폐지"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정원 이수용 기자 =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현 경영진의 '책임론'을 언급한 것과 관련, "인사 개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10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 원장이 '신(新)관치'를 통해 임 회장의 거취를 압박하고 있다는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의 지적에, "이 원장의 우리금융에 관한 언급은 부당대출을 계기로 기업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내부통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임 회장은 "경영진의 각성과 쇄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적으로 공감하고 있다"고도 했다.
특히, 임 회장은 향후 사퇴할 지를 묻는 질문엔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했다.
다만, 즉각적으로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다.
임 회장은 "깊은 책임감 느끼고 있다"며 "다만, 지금은 조직 안정과 내부통제 강화, 기업문화 혁신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선 우리금융의 내부통제에 문제가 있다는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우리금융저축은행과 우리금융캐피탈에서도 부당대출이 전방위적으로 발생한 것은 손태승 전 회장의 황제 경영이 막강했다는 의미다"라는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의 질의에 임 회장은 "그런 측면이 있다"고 답했다.
임 회장은 회장의 권한이 지나치게 막강한 것과 관련, 자회사 임원 선임과 관련한 사전협의제 폐지 등을 통해 필요한 조처를 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이번 사건의 원인이기도 했고 회장 권한 기능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우리금융그룹 개혁을 위해 사전합의제를 폐지하겠다. 계열사 자율경영을 최대한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임 회장은 향후 내부통제 문화를 혁신하는 데 사활을 걸겠다는 입장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우리은행은 통합은행 성격이 있는 데다 그간 민영화 되지 못한 문제로 분파적이고 소극적인 문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음지 문화를 없애지 않고는 바로 설 수 없다"고 했다.
이어 그는 "내부통제 방안을 최대한 신속히 시행하겠다"며 "절벽에 섰다는 심정으로 우리금융에 대한 내부통제, 기업 문화를 바꿔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금융이 현재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의 인수와 관련해서도 한일-상업으로 나뉜 우리금융 내부의 계파 갈등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임 회장은 "우리금융이 여러 은행이 합쳐지다 보니 통합은행 성격으로 일부 계파적인 문화가 잔존하는건 사실이다"며 "보험사를 인수하는 경우에도 (고려하겠다)"고 했다.
jw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