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배후 기업 금융제재 추진 나선 정부
(프놈펜=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ㆍ감금 등 조직범죄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할 전망이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력 제재 대상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금융서비스 기업 '후이원 그룹(Huione Group)' 등이 거론된다. 사진은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본사. 2025.10.19 dwise@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초국경 범죄들의 자금세탁(Anti-Money Laundering·AML)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응체계 마련에 나선다.

FIU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16개 유관기관 등과 함께 초국경 범죄 관련 '자금세탁방지유관기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은행권의 초국경 범죄 대응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금융권의 역할을 논의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췄다.

향후 FIU는 초국경 범죄 의심거래 유형을 분석하고, 금융사 등은 이에 해당하는 의심거래를 일제 보고하기로 했다.

지난주 FIU는 은행업권과 함께 이미 일부 의심거래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은행업권은 해당 기준에 따라 의심거래 보고를 실시 중이며, 향후 다른 업권에 대해서도 보고가 실시될 계획이다.

FIU 관계자는 "보고된 의심거래들은 전략분석을 거쳐 검찰과 경찰 등 법집행기관에서 범죄조직 적발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FIU는 금융사들의 자금세탁방지 내부통제도 강화한다.

금감원이 은행업권의 해외 지점·자회사에 대한 AML 관리·감독 현황을 우선 점검한 결과, 일부 은행은 동남아시아 해외 지점·자회사에 대한 서면점검 정도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FIU는 초국경 범죄 의심고객에 대한 고객확인, 동남아 소재 지점·자회사에 대한 현장 점검 등을 주문했다.

같은 맥락에서 FIU 또한 자금세탁방지 검사시 금융사의 해외 지점·자회사 관리실태를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FIU는 해외 FIU와의 금융거래 정보공유 등 공조체계를 강화하고, 초국경 범죄 등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제도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이형주 원장은 "이번 협의회는 초국경 범죄 대응을 위한 첫걸음으로 FIU는 캄보디아 사건에 한정하지 않고 향후 발생 가능한 초국경 범죄에 대한 대응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j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