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라임자산운용 관련 3자 협의체가 이해관계자 간 입장차이가 좁혀지지 않으며 사실상 물 건너간 가운데 쟁점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린다.

협의체는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제공한 3개 증권사를 빼고, 판매사와 라임운용을 중심으로 우선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라임운용에 TRS를 제공한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 KB증권이 참여에 난색을 보이면서 라임 3자 협의체 구성이 사실상 무산됐다.

3자 협의체는 라임운용의 펀드 자산 회수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라임운용과 판매사, TRS 제공 증권사들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금융당국은 3자 협의체를 구성해 관계자들이 라임운용 자산 회수 방법을 함께 논의할 것을 독려해왔다.

하지만 지난주 금감원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TRS 관련 증권사들은 참여에 부정적인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체가 구성되면 라임운용 펀드에 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TRS 증권사들의 양보를 전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온적인 입장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라임 운용 펀드 자산의 40~50% 정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선순위인 TRS 계약 증권사들이 남은 자산을 우선 회수하면 일반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거의 남지 않을 것으로 시장에서는 보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과 판매사 쪽에서는 TRS 증권사들에 선순위 포기 등의 양보를 원하고 있지만, TRS 증권사 입장에서는 만일 선순위를 포기할 경우 향후 배임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다.

신한금융투자는 5천억원, 한국투자증권은 700억원, KB증권은 1천억원 규모의 TRS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판매사 공동대응단에서는 라임운용 협의체 참여에 동의한 바 있다.

판매사 공동대응단은 라임운용 협의체 참여에 동의했었다. 판매사 공동대응단에는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등 6개 은행과 대신증권, 삼성증권, 신영증권, 유안타증권 등 7개 증권사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라임운용 자산 회수 관련 협의체는 판매사와 라임운용 2곳만 참여한 채 운영될 가능성이 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주 TRS 증권사 임원들과 진행한 회의에서 각 증권사가 추후 내부 회의를 통해 향후 입장을 전해주기로 했다"며 "우선 TRS 증권사를 빼고, 판매사와 라임운용 간 자산 회수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라임운용 남은 자산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회수가 힘들 것이라는 점에 동의한다"면서도 "선순위를 양보하게 되면 향후 배임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통 이런 경우 배임 논란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법원 판결 등 선순위를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는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jyk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