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인도 출신 라구람 라잔은 '스타 경제학자'이면서 비운의 중앙은행 총재로 거론되는 인물이다. 30대에 미국 시카고대 교수, 40대 초반에 국제통화기금(IMF) 수석이코노미스트를 지냈다. IMF의 이 보직은 최연소이자 동양인 최초의 기록이다.

2013년 막 50세를 넘겼을 때는 인도중앙은행(RBI) 총재로 발탁됐다. 명성에 걸맞게 총재 재임 중 물가 관리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냈음에도 3년 만에 물러났다. RBI 총재 임기는 3년이지만, 전임 총재는 거의 예외 없이 첫 3년 후 2년간 임기가 연장됐다. 사실상의 경질이다.

라잔의 조기 퇴진에는 정권 교체기라는 배경이 맞물려 있다. 라잔은 만모한 싱 총리 내각에서 총재로 임명됐다. 심각한 물가 급등기에 취임한 라잔 총재는 취임 직후에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도입했다. 이후 세 차례 기준금리를 올리며 물가를 잡는 동시에 인도 루피화 가치의 추락을 막는 데도 성공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새 내각이 들어서면서 라잔 총재와의 마찰이 잦아졌다. 새 정부는 빠른 성장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요구했으나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둔 라잔 총재가 이를 거부하며 정면충돌하는 모양새가 됐다. RBI가 뒤늦게 금리 인하에 나섰지만, 인하 속도가 경기 활성화를 바라는 모디 내각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라잔 총재는 연임을 포기하고 시카고대로 복귀했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중앙은행 총재








국내 금융권에서 부쩍 이런 라구람 라잔의 이야기를 언급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라잔 전 총재와 시기적이나 성향에서나 미묘하게 오버랩되는 부분이 있어 우려된다는 게 요지다.

이 후보자는 국내 대표적인 스타 경제학자다. 미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아 서울대 교수,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 IMF의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등을 거치면서 명성을 쌓아왔다. 초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차관급 공직생활도 했다.

이 후보자가 정권 교체 직전에 지명됐다는 점도 내내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달 중 인사청문회를 거쳐 총재 임명 자체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4년의 임기 대부분은 새 정부와 발을 맞춰야 한다. 문재인 정부가 이 후보자를 지명했을 때 윤석열 당선인 측에서 나온 싸늘한 반응은 순탄치 않은 길을 예고한 것일 수 있다.

물가 급등기 한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수순이다. 새 정부도 초기에는 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겠지만, 언제까지 감내할 수 있을지는 장담이 어렵다. 국채 금리 커브도 이미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기가 길어지거나 그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원치 않을 수 있다. 일정 시점이 되면 새 정부의 목표는 경제 살리기에 맞춰질 게 자명한 데, 한은의 역할론이 부각되면 그 자체로 큰 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석학의 자존심이 더해진 이 후보자의 타협 없는 원칙론이 발동할 경우엔 정부와 갈등이 깊어질 여지도 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국내 물가가 얼마나 빨리 잡힐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라잔 전 RBI 총재 사례는 인도 정치와 경제 메커니즘의 후진성에서 발현된 측면이 크다. 이 후보자의 거취에 대한 압박 등 극단적인 상황은 연출되지 않을 거라 본다. 하지만 정권 교체기라는 특수성, 물가 급등기, 새 정부의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등이 맞물리며 한은과 이 후보자 입장에선 고난의 시기를 맞이할 수 있다. 새 정부와 정치권의 입김에 한은의 독립성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을 미리 경계하는 이유다.

문재인 정부 이전에 집중됐던 청와대 주재 서별관회의와 열석발언권(기획재정부 차관 등이 금통위 회의에 참석해 발언할 수 있는 권한), 그리고 "척하면 척"이라는 경제 부총리 발언까지. 새 정부의 등장과 함께 과거 한은의 독립성을 뒤흔들었던 시그니처 단어들이 부활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취재본부 금융시장부장)

c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