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금융업계에 `낙하산'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최근 금융사 주주총회에서 금융감독원(금피아)이나 금융당국(모피아) 출신 인사들이 감사와 전무, 사외이사 등에 대거 선임되면서다.

세월호 사고 이후 민간과 내부 승진으로 대체됐던 금융사 임원 자리가 다시 낙하산인사로 채워지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생명보험협회 노동조합이 금피아 부활을 비난하는 성명을 내놓는 등 업계 안팎에서도 반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금피아가 다시 활개치는 것은 총선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총선을 앞두고 아무래도 감시가 소홀해진 틈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서다.

금피아가 다시 돌아오는 데엔 기획재정부나 금융위원회와는 달리 금융감독원이 비공무원 조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직자윤리법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라는 추정도 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은행과 보험, 증권, 금융협회 등 금융업권 전체를 감독하는 기관이다. 금융감독원 간부가 민간 회사의 임원으로 가면 십중팔구 후임자는 그의 후배다.직전 상관이 비호하는 금융사에 제대로 된 감독이 이뤄질리 없다. 이런 이유로 금융회사 스스로도 감독원 출신을 임원으로 받아들이길 원한다고 한다.

물론 금융감독원 인사들도 할말은 있다. 감독당국인 금융위원회와, 그의 지휘를 받아 감독업무를 실제 행사하는 금융감독원 사이의 갈등 관계 탓에 `금피아'가 많아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따져보면 금융감독원장에 내부출신은 배출된 적이 없고 금융위원회 출신의 공무원들이 감독원장을 비롯한 요직을 차지한다. 이 역시 또다른 낙하산 인사의 사례라 금융감독원 구성원 입장에서는 오래된 불만 요인이기도 하다.

금융감독원 내부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감독원에서 끝까지 버텨도 승진에 한계가 있을 바엔, 기회가 된다면 민간업계의 임원으로 이동해서 금융업계에 다른 식으로 헌신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내부 인식은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당국이나 업계에선 이런 식의 변명이 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인 국민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낙하산 인사가 활개치는 상황에서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외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비단 금융권에만 해당하는 것도 아니다. 총선이 끝나면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낙하산을 차단하기 위한 관련제도를 서둘러 정비해야 할 것이다.(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