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김예원 기자 =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정부가 선보이는 정책형 뉴딜펀드와 관련해 사실상 정부가 원금을 보장해주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참여형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금융 지원방안 브리핑에서 "뉴딜펀드는 원금이 보장된다고 명시하진 않았지만, 사후적으로는 보장될 수 있는 충분한 성격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뉴딜펀드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후순위 출자자로 3조원에 달하는 마중물을 붓는다.

은 위원장은 "후순위 출자를 통해 평균 35%는 정부 자금과 정책금융이 커버한다는 뜻은 이 펀드가 투자해서 손실이 35% 날 때까지는 이를 다 흡수한다는 얘기"라며 "뉴딜 사업의 상대방이 공공기관이다보니 손실이 나는 것은 상상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 출자와 정책금융 커버비율이 35%로 고정된 게 아니라 자펀드의 성격에 따라 15~40%로 차이가 있다"며 "손실에 대해 어떻게 커버할지는 얼마나 정부 출자자금과 정책금융이 들어갔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완 설명했다.

인프라펀드의 일반 투자자 보호 기능도 언급했다.

은 위원장은 "인프라펀드 역시 정부의 돈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정책금융기관이 중순위나 후순위로 참여하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다"며 "사후적으로 안전한 투자"라고 말했다.

정책형 뉴딜펀드의 목표수익률을 묻는 질문에는 국고채 이자 이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은 위원장은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사전적으로 목표수익률을 이야기할 순 없지만 원금이 보장되는 국고채보다는 조금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년 예금 금리가 0.8%임을 고려하면 뉴딜펀드가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딜펀드 투자대상으로는 카카오나 네이버와 같은 대기업도 가능성을 열어놨다.

은 위원장은 "투자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기본적으로 대기업 대상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대기업은 안된다고 한 것은 아니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동 프로젝트를 할 경우 지원 필요성이 큰 경우에는 대기업도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