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게 된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총괄서기관이었다. 당시 그는 64조원 규모의 공적자금 조성 계획을 세웠다.

지난 2011년부터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을 지낼 때는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그는 '거시건전성 3종 세트'를 도입했다.

금융위원장을 맡은 지 반년도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이전과는 또 다른 위기였다.

취임 1주년을 맞이한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대응을 앞으로의 최우선 과제로 손꼽았다.

은 위원장은 9일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용수를 아끼기보다 인명구조와 화재진압에 최우선의 노력을 하듯이, 코로나19 위기대응 과정에서 선제적이고 과감한 금융지원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는 175조원이 넘는 역대 최대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내년 3월까지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에 저리의 대출과 보증을 공급하고,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을 유예했다. 현재까지 집행된 규모는 35조7천억원이다.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들도 순차적으로 이뤄졌다. 3조원 규모로 조성된 채권시장안정펀드는 2조3천억원이 집행됐다. 증권시장안정펀드는 주식시장이 반등해 대기 중이다.

취약업종을 위한 저신용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은 22개 기업을 대상으로 총 550억원을 매입했다. 자동차 부품업체를 위해서는 정책자금만 5천억원, 시중은행이 9천억원 가까이 지원했다.

위기 대응을 위한 유동성 공급이 기업·가계 부채 급증의 주요한 배경이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은 위원장은 "위기가 끝나지 않은 만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의 가중된 어려움을 분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되 금융권의 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각별히 관리할 것"이라며 "위기극복 과정에서 불가피했던 가계와 기업의 부채 증가가 우리경제 재도약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연착륙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은 위원장은 최근 '포스트 코로나'를 화두로 꺼냈다. 여기에는 금융과 빅테크(Big Tech) 기업이 경쟁하는 시대에 위협과 기회 요인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인식이 담겼다.

은 위원장 취임 이후 세 번째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가 예비인가를 받았다. 온라인 보험사 캐롯손해보험이 문을 열었고, 부동산신탁사 시장에는 10년만에 신규 플레이어가 등장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저금리 기조가 강화되면서 전통적인 금융회사는 생존의 기로에 놓였다. 신용정보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지난 8월부터 본격화된 마이데이터 산업 시장은 기존 금융권에도 기회다.

은 위원장은 포스트코로나를 위해 시중유동성을 생산적인 분야로 유도하는 과정이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한국판 뉴딜'로 일컫는 뉴딜펀드 조성이 대표적이다.

최근 정책금융과 민간금융그룹 등을 만나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투자를 주문하고 있다.

은 위원장은 "1년의 임기 중 코로나19 위기 대응이 핵심 과제"라며 "지금도 두려움보다는 막중한 책임감이 앞선다. 금융시장 안정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실물지원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4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