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전년比 두자릿수 증가세



(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은행권이 공급한 기술금융 대출 잔액 규모가 300조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기업 대출수요 증가가 는데다, 기술금융을 향한 은행의 여신 전략 변화가 더해지며 이뤄낸 양적 성장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기술금융 대출 잔액은 270조1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했다. 기술금융 대출 건수도 68만1천994건으로 같은 기간 38.5% 늘었다.

기술금융 대출은 운영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해, 이를 담보로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빌릴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2014년부터 도입돼 꾸준히 잔액이 증가했고, 전체 중소기업 대출의 30% 규모로 성장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39조6천24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한은행은 36조7천170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31조5천885억원과 33조8천137억원을 기록하며 이들 은행의 증가세는 20~30%대를 나타냈다.

NH농협은행의 대출잔액 규모는 12조7천404억원으로 다른 은행보다 적었지만, 증가세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보다 78.2%나 늘어 가장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농협은행은 작년부터 기술금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방향을 세우고 전문조직인 '기술금융단' 신설하는 등 조직을 확충했다.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전문인력)을 당초 10명에서 20명으로 늘리기도 했다. 동시에 영업점에 기술금융 KPI지표를 확대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대출과 담보대출의 차이는 크다"며 "무형의 지식재산권이라고 하더라도 이 기업이 가진 지식재산권 등을 평가해서 그걸 담보로 잡는 것이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 기술금융 대출을 취급할 유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양적 성장에 치중하다 보니 일부가 혁신 기업과는 거리가 먼 곳에 대출이 이뤄지는 경우도 생겼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의사들이 개원할 때 기술금융을 통해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었다.

구조적인 문제도 있었다. 은행이 대출을 남발하려고 해도 기술평가사(TCB)들이 이를 제지할 수 있어야 하지만, TCB업체들은 은행에서 기술등급 평가 1건당 수수료를 받는 하도급 업체 역할을 하다보니 제대로 견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기술금융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기술금융 대출의 질적 성장도 꾀하기로 했다.

우선 기술금융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을 기술 연관성이 높은 업종의 중소기업으로 못 박아 대출대상을 명확히 했다. 또 TCB평가모형을 TCB평가기관마다 각각 운영 중인데, 올해 하반기 중 신용정보원 주도로 '표준 TCB평가모형' 개발을 완료해 평가체계의 일관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은행은 특정 평가 결과 보장 요구·평가 완료 전 결과 사전 요청·결과 통보 후 평가 취소 등이, TCB사는 은행 요구에 맞춰 특정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행위 등이 금지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기술금융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과 양적 성장세 유지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기술금융의 신뢰성·안정성을 강화하는 제도적 보안을 거쳐 질적 수준을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