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채권시장에서 어떤 재료로 작용할지 전망을 두고 시장 참가자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0시 기준 674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하루 전 91일 만에 최다를 기록한 700명에서 소폭 줄었다.

시장 참가자들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할 경우에 대해 경제 펀더멘털과 수급 측면에서 나타날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했다.

펀더멘털 측면에서는 경기회복 속도가 지연될 가능성을 강세 요인으로 지목했다.

당국이 기존 경기전망치를 하향하거나 실제 발표되는 지표들에서 지난해 코로나19 기저효과가 과도했다는 점이 확인되면 롱(매수) 재료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급 측면에서 확대 재정을 통한 국채 추가 발행 가능성은 약세 요인이지만 부담이 제한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대외적으로 우리나라 부채 증가 속도가 다소 빠르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점도 하나의 이유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5년 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70%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참가자들은 여당의 재ㆍ보궐선거 패배로 확장적 통화·재정 정책의 동력이 일부 움츠러들 것으로도 예상했다.

선거가 마무리되면서 5차 재난지원금과 자영업자 손실보상제 등 논의가 재개된다는 점은 약세 재료지만 일부 선반영된 부분이 있다고 판단했다.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 논란이 빚어지면서 불안감이 커지는 등 관련 소식에도 주목했다.

시중은행의 한 채권 운용역은 "재정을 추가로 확대하기에 여력이 크지 않아 보이고 4차 유행 시 이전보다 큰 악재로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 같다"며 "당장 기준금리를 인하할 여력은 없어도 동결을 장기화할 가능성은 있어 롱 재료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해외 코로나19 전파 상황과 외국인 투자자의 움직임을 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늘어나고 중증 확진자 수가 줄어드는 상황을 감안하면 해외 국채시장에서는 안전자산 선호가 약화할 수 있다.

일본과 같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거나 유럽 일부 국가에서 이를 시사한 만큼 국내 기준금리도 추가 인하 조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었다.

앞서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해 초 외국인은 국채선물을 대규모로 투매했고, 주가와 환율이 모두 떨어지는 트리플약세를 연출하기도 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아직 원화채권이 매수할 만한 가격 메리트가 있다고 평가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에 따라 '셀 코리아'가 다시 연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코로나19가 확산하는 방식을 봐야한다"며 "4차 유행 시 어떤 재료로 작용할지는 셀 코리아가 발생하는지 안 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m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3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