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백신 보급율이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한국국제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글로벌 경제정책 정상화 기대에 따른 금융시장 위험요인과 정책과제' 정책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강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 한국과 미국 간 금리 동조화로 국내금리가 기초경제 여건에 걸맞지 않은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부채부담이 커지고 주가의 가격조정이 심화할 수 있다"며 "자산가격의 상관관계 확대로 위험관리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이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하는 가운데 신흥국이 낮은 백신 보급률로 경기회복이 지연돼 미국과 신흥국간 성장격차가 심화할 경우,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 연구위원은 "재정확대의 일회적 성격과 기대인플레이션 안착 등에 힘입어 올해 중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뒤 점차 안정화될 것이란 견해가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확대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기조가 급선회하면서 금리 인상이 가팔라질 경우 글로벌 경기 인식이 급속히 악화할 수 있다"며 "이와 반대로 코로나19 이전의 저물가로 회귀하면 저물가를 타개할 새로운 거시 안정화 정책 체계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금리에 대해서는 "물가상승 압력으로 올해 들어 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가 등 위험자산이 조정을 받고 있다"면서도 "향후 통화정책 기조의 급격한 변화가 없다면 금리의 추가 상승 여력은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고 얘기했다.

장기금리 상승세를 미래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와 수급요인 등을 반영한 기간 프리미엄으로 분해하면 미래 통화정책 기대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급락한 뒤 반등하지 못했지만, 기간 프리미엄은 지난 2016년 말 연준이 금리인상을 본격화하고 보유자산을 매각하던 시점과 같은 수준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예상을 크게 상회할 경우 기준금리의 조기인상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장기금리가 재차 상승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종식 후 급격한 경제반등으로 금융 불안, 인플레이션 압력 등이 예상보다 빨리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정상화, 유동성 흡수, 정부 부채 증가 속도 완화 등 거시경제정책의 정상화 타이밍은 더 빠르고 신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 사태 때는 자본 유출 반전 없이 동학개미 반응이 금융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주가가 이전보다 오른 상태에서도 향후 지속해서 동학개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며 "자본유입 경로 변화, 경제주체의 대응 변화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 이후 미국의 정책 정상화 과정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글로벌 금융 사이클을 유의해야 한다"며 "가계부채 및 정부부채 급증, 실물과 금융의 괴리현상 등 국내에서 발행할 수 있는 위험요인도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